[공부 ]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관념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6:34
본문
Download : [공부자료]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개념 정리.hwp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회생제동 기술은 연비改善(개선) 의 key point(핵심) 적인 기술로서, 특히 가감속을 반복하는 도로에서 차량의 연비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동력의 성능은 저항기의 용량에 따라 change(변화)한다.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이며 회생제동은 제동 시 마찰로 소모되는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이를 배터리, 울트라 커패시터(Ultra Capacitor)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한 후 이를 구동 시에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발생 전력을 저항기에 흐르게 해 발열 소비시켜, 모터에 회전 저항을 일으키게 하고 제동력을 얻는다.
발전 제동(發電制動)이란 전기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량이나 기기류의 브레이크 방식의 일종이다.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기술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전기자동차와…(투비컨티뉴드 )
다. 철도 차량이나 산업 기기에 넓게 이용되고 있따
전기 모터로의 송전을 멈추어 통상의 구동을 정지해 통상의 출력측(차량에서는 차륜)의 회전을 반대로 모터에 입력하는 형태로 전달하는 것으로, 모터를 발전기로서 작동시킨다.
회생제동
[regenerative breaking, regenerative braking, 回生制動]
전동기의 제동법의 하나로, 전동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그 발생 전력을 전원에 되돌려서 하는 제동방법. 직류 전동기에서는 무부하 속도 이상일 때, 유도 전동기에서는 동기속도 이상일 때 이 방식이 적용된다 직권 전동기의 경우는 보통 계자를 타려(他勵)로 전환하여 타려자 발전기로 한다.
덧붙여 넓은 의미로는 회생 브레이크도 이 범주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발전 제동은 저항기를 이용한 제동을 말한다.
[공부자료]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개념 정리 , [공부자료]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개념 정리기타시험족보 , 공부자료 회생제동과 발전제동 개념 정리
Download : [공부자료]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개념 정리.hwp( 92 )
시험족보/기타
![[공부자료]%20회생제동과%20발전제동의%20개념%20정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B%B6%80%EC%9E%90%EB%A3%8C%5D%20%ED%9A%8C%EC%83%9D%EC%A0%9C%EB%8F%99%EA%B3%BC%20%EB%B0%9C%EC%A0%84%EC%A0%9C%EB%8F%99%EC%9D%98%20%EA%B0%9C%EB%85%90%20%EC%A0%95%EB%A6%AC_hwp_01.gif)
[공부 ]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관념 요점
공부자료,회생제동과,발전제동,개념,정리,기타,시험족보
설명
순서
[공부 ]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의 관념 요점
발전 제동
[ dynamic braking , dynamic breaking , 發電制動 ]
전동기를 일시적으로 발전기로 동작시켜 운동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그 전력을 전기자 회로에 접속한 부하 저항에서 소비시키는 제동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