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정, 배우자선택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2:31
본문
Download :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정, 배우자선택이론_5061825.hwp
물론 중매를 통한 만남일 경우엔
지리적인 행동반경 이외의 사람과 만남이 가능하지만, 그들 역시 사회적
- 교육수준, 직업적 지위, 집안 배경 - 으로는 서…(skip)
배우자선택과결혼결정,배우자선택이론 ,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정, 배우자선택이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배우자선택과결혼결정,배우자선택이론(理論)
다. 다음은 배우자를 선
택하는 구체적 방식을 설명(說明)하는 theory 들이다. 가까이에 있는 사람과의 실질적 접촉이 비교적 잦은데, 접
촉이 가능해야 자연스럽게 친밀한 관계에 이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Rubin, 1973). 그래서 배우자감을 먼 데서 찾지 말고, 가까운 데서 찾으
라.`는 속설은 근접성의 원리와 통한다.
1) 근접성 theory (Propinquity theory)
지리적 · 사회적으로 일정한 행동반경 내에 있는 상대를 배우자로 만날
가능성이 높다. 배우자 선택과 관련하여 이와 같이 구체화
된 선호도의 이면에는 보다 복잡한 역학이 존재한다.
순서
Download :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정, 배우자선택이론_5061825.hwp( 16 )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정, 배우자선택이론(理論)
Ⅰ. 배우자 선택에 관한 theory
1. 근접성 theory
2. 이상형 theory
3. 유사성 theory
4. 상응과 형평성 theory
5. 상보성 theory
6. 역할 적합성 theory
Ⅱ. 결혼 결정과 한국적 특수성
1. 결혼 결정에 미치는 상황적 조건
2. 결혼 결정과정에서의 부모역할
3. 우리 시대의 중매혼
*참고한 문헌
1. 배우자 선택에 관한 theory
배우자 선택 및 결혼의 성사 여부를 결정짓는 밑그림을 그리는 것은 각
자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면면과 상대방에 대한 기대, 그리고 기대에 대한
충족도 등이 어우러진 복합체일 것이다. 최근의 한 연구(김용학,2005)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시되는 기준이 상대방의 학력-경제력-외
모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