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9 10:18
본문
Download :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hwp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순서
![[의약학]%20간호학%20고빌리루빈혈증과%20간호%20용혈성질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C%95%BD%ED%95%99%5D%20%EA%B0%84%ED%98%B8%ED%95%99%20%EA%B3%A0%EB%B9%8C%EB%A6%AC%EB%A3%A8%EB%B9%88%ED%98%88%EC%A6%9D%EA%B3%BC%20%EA%B0%84%ED%98%B8%20%EC%9A%A9%ED%98%88%EC%84%B1%EC%A7%88%ED%99%98_hwp_01.gif)
![[의약학]%20간호학%20고빌리루빈혈증과%20간호%20용혈성질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C%95%BD%ED%95%99%5D%20%EA%B0%84%ED%98%B8%ED%95%99%20%EA%B3%A0%EB%B9%8C%EB%A6%AC%EB%A3%A8%EB%B9%88%ED%98%88%EC%A6%9D%EA%B3%BC%20%EA%B0%84%ED%98%B8%20%EC%9A%A9%ED%98%88%EC%84%B1%EC%A7%88%ED%99%98_hwp_02.gif)
![[의약학]%20간호학%20고빌리루빈혈증과%20간호%20용혈성질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C%95%BD%ED%95%99%5D%20%EA%B0%84%ED%98%B8%ED%95%99%20%EA%B3%A0%EB%B9%8C%EB%A6%AC%EB%A3%A8%EB%B9%88%ED%98%88%EC%A6%9D%EA%B3%BC%20%EA%B0%84%ED%98%B8%20%EC%9A%A9%ED%98%88%EC%84%B1%EC%A7%88%ED%99%98_hwp_03.gif)
![[의약학]%20간호학%20고빌리루빈혈증과%20간호%20용혈성질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C%95%BD%ED%95%99%5D%20%EA%B0%84%ED%98%B8%ED%95%99%20%EA%B3%A0%EB%B9%8C%EB%A6%AC%EB%A3%A8%EB%B9%88%ED%98%88%EC%A6%9D%EA%B3%BC%20%EA%B0%84%ED%98%B8%20%EC%9A%A9%ED%98%88%EC%84%B1%EC%A7%88%ED%99%98_hwp_04.gif)
![[의약학]%20간호학%20고빌리루빈혈증과%20간호%20용혈성질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C%95%BD%ED%95%99%5D%20%EA%B0%84%ED%98%B8%ED%95%99%20%EA%B3%A0%EB%B9%8C%EB%A6%AC%EB%A3%A8%EB%B9%88%ED%98%88%EC%A6%9D%EA%B3%BC%20%EA%B0%84%ED%98%B8%20%EC%9A%A9%ED%98%88%EC%84%B1%EC%A7%88%ED%99%98_hwp_05.gif)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Download :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hwp( 28 )
의약학,간호학,고빌리루빈혈증과,간호,용혈성질환,의약보건,레포트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용혈성 질환
Ⅲ. 비판적 사고
Ⅳ. 서지사항
Ⅰ. 서 론
우리는 김소영(가명) 산모 아기에게 신체검진을 실시한 결과 비정상적인 소견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Dr notify하여 T. Bilirubin order stat을 받아 시행한 결과 36.4mg/dl로 높아 NICU admission하였고 Jaundice 치료를 처음 하였으며 걱정하고 있는 김소영 산모와 아기 아빠에게 說明(설명) 해주기 위하여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HDN)
- 생후 24시간 이내에 생기는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 용혈성 질환의 가장 흔한 결과이며, 이는 비정상적으로 적혈구가 빠르게 파괴되는 것을 말함
- 적혈구 파괴에 의한 빈혈은 적혈구의 생산을 자극하고, 용혈되는 세포 수의 증가를 가져옴
- 적혈구 파괴가 증가하는 주된 원인(原因)은 동종면역(Rh)과 ABO 부적합증임
1) 혈액부적합증
Rh부적합증(동종면역)
- Rh 혈액형은 몇 가지 항원으로 구성되어있음(D항원이 가장 흔함)
2) 임상증상
- 용혈성질환을 가진 대부분의 신생아는 출생 시에 황달이 없으나 간 비장 비대와 다양한 수종이 나타나며, 심한 손상이 있을 경우 빈혈과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이 나타남
- 황달은 출생 후 바로(첫 24시간동안에) 나타나고 간접 빌리루빈의 혈청수치가 빠르…(省略)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의약보건레포트 ,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의약학] 간호학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다. V/S stable하며 Whole milk q 3hrs.로 제공하고 있으며 30~40ml 정도 먹고 있다 NR 입원 삼일 후, 2013년 9월 5일 오전 8시, 우리는 day duty를 나와 퇴원 예정 환아의 discharge physical examination을 하던 중 육안으로 김소영 산모 아기에게서 whole body Jaundice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Dr notify하여 T. Bilirubin order stat을 받아 시행한 결과 36.4mg/dl로 높아 NICU admission하였고 Jaundice 치료를 처음 하였으며 걱정하고 있는 김소영 산모와 아기 아빠에게 ...
고빌리루빈혈증과 간호
`용혈성질환`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용혈성 질환
Ⅲ. 비판적 사고
Ⅳ. 서지사항
Ⅰ. 서 론
우리는 김소영(가명) 산모 아기에게 신체검진을 실시한 결과 비정상적인 소견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V/S stable하며 Whole milk q 3hrs.로 제공하고 있으며 30~40ml 정도 먹고 있다 NR 입원 삼일 후, 2013년 9월 5일 오전 8시, 우리는 day duty를 나와 퇴원 예정 환아의 discharge physical examination을 하던 중 육안으로 김소영 산모 아기에게서 whole body Jaundice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