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靑少年복지의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3 21:14
본문
Download : 장애청소년복지의의의.hwp
마지막으로 사회적 불리란 기능장애나 활동
장애로부터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령, 성, 사회 · 문화적 요인에 따른 정상적인
역할의 수행을 제약 또는 방해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을 뜻한다.
장애인의 복지향상에 기여하였던 세계장애인권리선언(1975)에서는 장애인을
선천적 내지 후천적 Cause 에 관계없이 신체적 혹은 정신적 능력의 장애 때문에
부분적 또는 완전히 일상 사회생활을 스스로 유지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定義(정의)
한 바 있따
장애 및 장애인의 개념(槪念)은 각 나라의 이념과 사회 · 문화적 環境(환경)에 따라 다양
하게 定義(정의)되어지는데 각 나라의 장애관계법은 장애 및 장애인의 개념(槪念)을 잘 보
여준다. 능력장애란 기능장애로부터 야기된 것으로 인간에게 정상
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써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약 또는 결여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기 전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
고용촉진법 및 직업재활법 그리고 특수교육진홍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장애종
류는 상대적으로 수도 적고 장애범주도 주로 의료적 관점에서 신체 · 정신적
측면의 1차 장애에 국한하여 매우 협소하였다.장애靑少年복지의의의
장애청소년복지의의의장애청소년복지의의의 , 장애청소년복지의의의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장애청소년복지의의의.hwp( 85 )
,인문사회,레포트
장애靑少年복지의의의
설명
장애靑少年(청소년) 복지의 의의
목차
* 장애靑少年(청소년) 복지의 의의
Ⅰ. 장애 및 장애인의 개념(槪念)
Ⅱ. 장애靑少年(청소년) 의 定義(정의)
Ⅲ. 장애靑少年(청소년) 복지의 의의
* 출처
* 장애靑少年(청소년) 복지의 의의
1) 장애 및 장애인의 개념(槪念)
장애의 개념(槪念)은 크게 신체 또는 정신의 기능저하, 이상, 상실 또는 신체 일부
의 훼손 등을 지칭하는 의학적 수준의 협의의 개념(槪念)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규정한 손상 또는 기능장애, 능력장애, 사회적 불리의 세 가지 분류를 모두 포
함하는 광의의 개념(槪念)으로 나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장애분류(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를 통해 공통적이며 일관된 장애에 대
한 개념(槪念)을 定義(정의)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1999년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된 후 장애범주가 기존의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또는
정신지체의 5가지 영역에서…(생략(省略))
장애靑少年복지의의의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이 분류법에 의하면 장애를 기능장애. 기능
장애로 인한 능력장애 그리고 능력장애의 사회적 결과인 사회적 불리의 세 가
지 단계로 분류하고 이 세 가지를 포괄적으로 장애분류에 포함시키고 있따
먼저 기능장애란 심리적 · 생리적 ·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적인 손실 또는 비
정상을 뜻하는 것으로, 손실을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질병을 포함하는 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槪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