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 중 각 ingredient의 정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0 01:57
본문
Download :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 중 각 성분의 정량.hwp
먼저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을 일정 비율로 섞은 시료를 정칭해 HO에 녹여 시료용액을 만들었다. 여기에 BaCl를 충분히 가하여 탄산이온을 침전시키고 지시약으로 phenolphtalein을 가한 후 과량으로 남아있는 NaOH를 HCl 표준용액으로 역적정하여 탄산수소이온을 중화시키는데 소모된 NaOH로부터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을 결정하고 총알카리도로부터 탄산나트륨의 양을 결정하였다.
,공학기술,레포트
1. 실험タイトル
2. 요약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출처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물질들은 대부분 한가지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물질이 섞인 혼합물이다. 실험에 사용된 물질은 탄산나트륨(NaCO)과 탄산수소나트륨(NaHCO)을 일정비율로 섞은 혼합물이고 실험에 쓰인 분석방법은 직접적정과 역적정이 사용되었다. 이 시료용액에 B.P.B를 가하고 0.1N HCl 표준용액으로 시료용액이 황색으로 변할 때까지 중화시켜 녹아있는 시료의 총알카리를 구하였다.
설명
experiment(실험)보고서
이번에 실시한 experiment(실험)은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 중에서 각 ingredient을 정량하는 experiment(실험)으로 分析(분석)방법으로는 정량分析(분석)방법 중 역적정이 사용되었다. 시료용액에 남아있는 CO32-는 HCl과 reaction response을 하게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과량의 BaCl2을 첨가해 침전reaction response을 일으켰고 소모된 HCl의 양으로부터 각 成分의 함량을 구하였다. 여기에 BaCl를 충분히 가하여 탄산이온을 침전시키고 지시약으로 phenolphtalein을 가한 후 과량으로 남아있는 NaOH를 HCl 표준용액으로 역적정하여 탄산수소이온을 중화시키는데 소모된 NaOH로부터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을 결정하고 총알카리도로부터 탄산나트륨의 양을 결정하였다. 사용량은 용액 1000cc당 2~5방울 정도를 사용한다. 먼저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을 일정 비율로 섞은 시료를 정칭해 HO에 녹여 시료용액을 만들었다. 총알카리 적정결과 14.3ml의 HCl이 쓰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정량분석 하여 각 成分의 함량을 구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다음으로 시료용액을 다시 취하고 과량의 0.1N NaOH 30ml를 가해 탄산수소이온을 탄산이온으로 만들었다.
▷ B.P.B의 특징과 사용이유
실험에 사용된 지시약 B.P.B(bromophenol blue)는 3.0~4.6의 pH 범위를 가지고 산성에서는 노란색, 염기에서는 청자색을 띈다. NaHCO의 정량과정에서는 과량의 NaOH 표준용액을 첨가해 HCO3-를 CO32-로 바꾸어 주었다. 분석 중 총알카리의 정량에서는 강산과 약염기의 중화reaction response을 이용하였고 NaHCO의 정량에서는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reaction response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시료용액을 다시 취하고 과량의 0.1N NaOH 30ml를 가해 탄산수소이온을 탄산이온으로 만들었다.실험보고서 ,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 중 각 성분의 정량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 중 각 성분의 정량.hwp( 81 )





다.
B.P.B를 사용한 이유는 탄산수소나트륨의 수용액은 가수분해에 의해서 약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phenolphtalein(pH범위 8.0~9.8)에 상대하여는 중성을 보이기 때문일것이다
▷ 탄산나트륨과 …(省略)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 중 각 ingredient의 정량
이번에 실시한 실험은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 중에서 각 성분을 정량하는 실험으로 분석방법으로는 정량분석방법 중 역적정이 사용되었다. 이 시료용액에 B.P.B를 가하고 0.1N HCl 표준용액으로 시료용액이 황색으로 변할 때까지 중화시켜 녹아있는 시료의 총알카리를 구하였다. experiment(실험)에서 20.6ml의 HCl이 소모되어 NaHCO의 함량은 68.94%, NaCO는 38.1%의 결과가 나왔다. 총알카리 적정결과 14.3ml의 HCl이 쓰였다. 실험에서 20.6ml의 HCl이 소모되어 NaHCO의 함량은 68.94%, NaCO는 38.1%의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