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과학] 인터넷(Internet) 기사나 방송보도 事例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2 09:47
본문
Download : 인간과과학.hwp
[참고 자료]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 구본권 역, 잊혀질 권리 디지털 시대의 원형감옥, 당신은 자유로운가?, 지식의날개, 2011 김인중, 인문을 위한 사이버 공간과 사이버 안보, 글과생각, 2013 김상배, 황주성 편, 소셜 미디어 시대를 읽다, 한울아카데미, 2014 이은영, 변화하는 온라인 서비스 환경과 이용자보호, 세창미디어, 2012 류춘렬, 이병혜 외 1명, 미디어 산업을 넘어 경쟁력 있는 사회 시스템으로(변혁기를 넘어 도약을 향한 제언) 한반도선진화재단, 2009
우선, “잊혀질 권리가 과연 누구의 기억으로부터 무엇을 잊혀지도록 만들 것인가에 대한 논의부터 해야 한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8) 기술적인 한계의 극복
그래서 전 세계적 현안이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잊혀질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다.
(6) 표현의 자유 침해, history(역사) 적 사실 왜곡 등의 악용 방치대책 마련
오늘날 스마트폰 등 각종 디지털 기기가 발달 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매우 다양해지면서 누군가 올린 글은 대량 복사가 가능해져서 순식간에 전 세계로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인중, 인문을 위한 사이버 공간과 사이버 안보, 글과생각, 2013
1.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의 槪念 및 定義(정이)
최근 유럽에서는 이러한 on-line 상의 정보를 삭제 요구할 수 있는 잊혀질 권리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Ⅱ. 누리망 기사나 방송보도 사례(instance)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전술한 대로 유럽사법재판소에서 다뤄진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에 대한 판결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2014. 5. 13) 스페인의 한 변호사인 곤잘레스(Mario Costeja Gonzalez)는 자신의 집이 연금연체로 경매 처분 된 사실을 기록한 과거의 신문 기사가 더 이상 검색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구글을 상대로 소송을 낸 적이 있는데, 이 소송이 스페인 법원을 거쳐서 유럽연합사법재판소에서 승소함으로써 ‘잊혀질 권리’가 정당하게 인정을 받게 됐다.
② 반대 입장
3.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
인간과 과학,잊혀질 권리,잊혀질권리,잊혀질권리실현가능성,잊혀질권리가능성,sns,인터넷,신상털기,네티즌,인간과과학
4) ‘맥스모슬리’ 사례(instance)
Download : 인간과과학.hwp( 81 )
Ⅱ. 누리망 기사나 방송보도 사례(instance)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1.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의 槪念 및 定義(정이)
5) 캠핑장 폭발사건 사례(instance)
1) ‘잊혀질 권리’에 대한 시각
순서
Ⅲ. 결 론
2) 실현 가능성





[인간과과학] 인터넷(Internet) 기사나 방송보도 事例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논의
[참고 reference(자료)]
류춘렬, 이병혜 외 1명, 미디어 산업을 넘어 경쟁력 있는 사회 시스템으로(변혁기를 넘어 도약을 향한 제언) 한반도선진화재단, 2009
[참고 자료]
Ⅰ. 서 론
(신문reference(자료), 단행본(도서) 등 어떠한 reference(자료)를 참고해도 상관은 없지만, 인간과 과학 방송교재만을 참고도서로 활용해서는 안되며, 인용 할 때에는 반드시 참고한 기사나 도서의 출처를 밝혀야함)
(9) 전망
(3) 정보통신망법 상의‘임시조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잊혀질 권리’는 개인이 on-line 사이트상에 올라 있는 자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의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이미 명예훼손과 사생활 침해 등에 관한 관련 법규가 있는데 ‘잊혀질 권리’를 추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과 이 권리는 명예훼손과 사생활 침해를 포괄하는 상위 槪念으로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2. ‘잊혀질 권리’의 사례(instance)
(4)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문제 해결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 구본권 역, 잊혀질 권리 디지털 시대의 원형감옥, 당신은 자유로운가?, 지식의날개, 2011
■ 충실한 reference(자료)인 만큼 학업성취에 많은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6) 누드사진 유출 사례(instance)
(1)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상 ‘잊혀질 권리’
김상배, 황주성 편, 소셜 미디어 시대를 읽다, 한울아카데미, 2014
인터넷 기사나 방송보도 사례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논해보시오. (신문자료, 단행본(도서) 등 어떠한 자료를 참고해도 상관은 없지만, 인간과 과학 방송교재만을 참고도서로 활용해서는 안되며, 인용 할 때에는 반드시 참고한 기사나 도서의 출처를 밝혀야함) ■ 참고한 기사나 도서의 출처를 밝혀 체계적으로 성심성의껏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잊혀질 권리만 중시하다 보면 알 권리, 표현의 자유 등의 가치가 침해될 소지도 있다 이러한 상충을 어떻게 해결하거나 조정할 것인가가 바로 논의의 초점이다.
3) ‘밭러제들마이어’ 사례(instance)
다.<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 구본권 역, 잊혀질 권리 디지털 시대의 원형감옥, 당신은 자유로운가?, 지식의날개, 2011, (p. 84)>
on-line 상에서 특정인의 사생활을 집중적으로 파헤치는 이른바 ‘신상털기’가 기승을 부리게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4~5년 전부터 ‘잊혀질 권리’ 도입 피료썽이 제기돼 왔다. ■ 편집이 용이하도록 철저히 배려하여 작성했습니다. ■ 충실한 자료인 만큼 학업성취에 많은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2) 가수 MC몽 사례(instance)
(5) ‘신상털기’ 등의 부작용 대책
① 찬성 입장
■ 편집이 용이하도록 철저히 배려하여 작성했습니다. 이것은 누리망 에서 생성, 저장, 유통되는 개인의 사진과 거래 정보 혹은 개인의 성향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소유권을 강화하고 이에 대하여 유통기한을 정하거나 삭제, 수정, 영구적인 파기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또한 합법적이며 적법적으로 공개된 정보에 대해 ‘잊혀질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가 하는 점도 문제다. 인터넷(Internet) 기사나 방송보도 事例를 참고하여 최근 각종 언론과 웹상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의 실현 가능성에 마주향하여 논해보시오.
(7) 저널리즘 영역의 문제 해결
1) 연예인 이경영씨, 권영찬씨 사례(instance)
이은영, 變化(변화)하는 온라인(online) 서비스 environment(환경) 과 이용자보호, 세창미디어, 2012
Ⅰ. 서 론
(2) 입법에 대한 찬반 논의
≪ … 중 략 … ≫
설명
■ 참고한 기사나 도서의 출처를 밝혀 체계적으로 성심성의껏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정보통신망법에 의하면 개인이나 기관이 누리망 상의 게시물 등으로 인하여 명예훼손 같은 피해를 보더라도 법원 판결 없이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누리망 검색을 통해 볼 수 있는 개인 신상정보, 사망한 뒤 페이스북에 남아 있는 사적인 사진 등의 정보는 개인의 것이지만 정보의 삭제 권한은 기업에 있다 디지털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서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경험은 우리가 죽는다 하더라도 망실되지 않을 수 있으며 죽음 뒤에도 남아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메모리를 통해 우리는 계속 살아갈 수 있으며 이로부터 탈출은 잊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