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0 04:38
본문
Download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hwp
② 왕권 안정화의 노력 : 1) 원성왕 때의 독서삼품과 실시, 흥덕왕 때의 골품제 규범 정비
설명
② 반면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 과정이 한국사의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봄.
② 한국인의 자율의지가 아니라 대륙의 정세 변동에 따라 일어난 현상이라고 폄하함. china에서는 당이 쇠망하고 오대십국으로 분열되었다가 송이 통일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사대부가 성장하고 지주전호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로 발전해갔다.
② definition : 왕조 교체를 주도한 세력을 중간계층으로 파악함, 하층민과 결합해 사회변혁을 추진함.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① 신라 하대의 권력쟁탈전 : 1) 내용 : 왕권을 강화하려는 세력 vs 귀족세력, 진골귀족 내부의 권력 다툼



2)이기백 - 지방호족과 육두품계층이 골품체제에 저항하고 그것을 변혁해가는 과정이 고려왕조의 교체이다. china 동북부에서는 거란족이 요를 건국하고 이어 발해를 멸망시켰다.
(3) 진단학회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② 골품제의 기초가 되는 친족집단이 축소되어 유대관계가 소원해진 한편 귀족층이 팽창하면서 하대의 혼란상이 초래되었다.
.
2) 원인 : 신라말기에 친족집단이 분지화하거나 집단적 친족관계가 소멸됨에 따 라 골품제가 변질, 해체됨으로써 혼란상을 초래함. 이에 관련되어는 세가지 견해가 있음.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② 주장 : 통일신라 시기를 노예소유자적 사회에서 농노제로 이행하는 시기로 봄 ⇒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노예공급이 중단되고, 생산력 발전에 따른 사회적 재편성을 처음 으로 중세 사회가 성립됨. 곧 고려시대에 전형적인 봉건사회가 성립함.
① 통일신라까지를 고대, 고려부터는 중세
(1) 정치지배질서의 change(변화)
(2) 백남운
① 1960년대 이후 한국 역사학계에서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과 사회발전론적 시각의 연구가 본격화됨으로써 대두됨.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4) 중산층론
④ 의미 : 식민사학의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을 깨고 세계사 차원의 보편적인 발전단계론을 적용한 연구였음.
③ 비판점 : 사적유물론을 도식적으로 한국사에 적용.
①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를 단순한 지배세력의 교체로 파악함.
를 중시하는 것은 편의적이고 역사를 계기적 발전 과정으로 파악하기 힘듬.
순서
2) 통일왕조의 교체는 두 번 뿐
.
Download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hwp( 89 )
(1) 일제 식민사학
③ 신라 왕실의 분지화에 따른 혈연의식의 change(변화)에 따라 진골 합의제를 기본으로 하는 골품제의 운영이 변질됨.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① 식민사학을 비판하면서 한국사를 발전적으로 파악하여 체계화함.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① 역사 이해에서 왕조 교체 한국사에 있어서 왕조 교체의 특징 : 1) 한 왕조의 지속 기간이 매우 김
③ 대표적 학자 : 1)김철준 - 골품제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지방세력과 지식인들의 역할을 부각시킴.
① 骨 속에서 族, 족 속에서 家의 단위성이 커지면서 귀족들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벌어짐.
② 고려는 신라말기의 혼란상을 통일하고 철저한 관료 중심의 중앙집권제를 구상하는 방향으로 발전함.
3) 외부세력의 무력정복으로 인한 교체 아님
(5) 현재 학계의 동향
2. 지배질서의 change(변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