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와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20:27
본문
Download : 대화와토론.hwp
저자는 화자가 대화를 끝내지 않은 상황에서 고의적으로 말하는 것이 잘못 되었다고 했는데, 만약 대화가 내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가거나,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중간에 말을 돌릴 수 있도록 중복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것을 잘못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말은 결국 우리가 의사소통을 하며 항상 대립할 말만을 생각한다는 것인데, 우리는 대부분 화자의 意見(의견)을 존중해주는 대화를 주로 한다. 화자와 청자가 대화를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볼 때 대화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알 수가 있따 이 저자는 의사소통을 할 때 화자와 청자의 대립이 의사소통의 기본적 배경이 된다고 하였는데, 나는 이 말에는 동조하지 않는다. 또 대화의 원리 중 협동의 원리는 서로 상호성을 기인하는 것으로, 대화에는 협동이 필요한 것이다. 내가 볼 때는 여기에서 화자와 청자는 계속해서 서로 그 역할이 바뀌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제 대화하는 것에 마주향하여 이다. 그러나 예로 들은 것이 협동의 원리에는 어긋나나 누나의 입장으로 그 이야기가 하기 싫은 상황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예로는 부적합한 것 같다. 의사소통을 구성하는 것은 화자, 청자, 메시지이다.
또 원만한 대화를 나누는 사람이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한다는 말에는 동조하나, 그런 사람들이 대부분 교양이나 인격을 갖춘 사람들이라고 했는데, 교양을 갖추지 않은 사람은 원만한 대화를 못한다고 할 수 있는가 그럴 수 없기에 이 말에는 반대한다. 간접대화를 잘 사용하면 상대방과의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대화를 재미있게 이어갈 수 있다는 저자의 말에…(To be continued )
대화와토론
다.대화와토론 , 대화와토론감상서평레포트 , 대화와토론
대화와토론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대화와토론.hwp( 36 )
대화와토론,감상서평,레포트
설명
순서
REPORT
김승민
‘대화와 토론’을 읽은후
대화를 한다는 것은 화자와 청자가 말을 주고받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립한다는 말은 잘못 쓰여 진 것 같다.
대화행위 중에 간접대화행위는 우리나라에서 굉장히 많이 사용 되는 대화 방법이다. 대화를 이어가고 끝맺는데 관련된 규칙에 순서교대, 중복, 대응쌍이 있는데 여기서 내가 말할 것은 중복에 마주향하여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