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特性(특성)과 발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20:13본문
Download :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특성과 발달.hwp
근래에 와서 길포드(J. P. Guilford, 1959)는 지능은 120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복합설을 제안하였고, 피아제(J. Piaget)는 지능을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그 무엇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 또는 조작(조작: operation)으로 간주하고 있다아 지능의 본질에 대한 명백한 학문적 의견일치가 없는 가운데에서도 지능의 개념(槪念)과 지능의 측정(measurement)법은 발전되어, 지금은 어느 정도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아
게이지와 버라이너(N. L. Cage & D. C. Berliner, 1922, p.52)는 심리학자와 교육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서 지능을 다음 세 가지의 능력 즉 (1)구체적인 것(기계적 도…(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특성과 발달.hwp( 78 )
교육심리학제4장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特性(특성)과 발달
순서
설명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特性(특성)과 발달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또한 지능의 구조에 관심을 두는 학자들은 지능은 한 개의 일반요인(g-factor)과 여러 개의 특수요인(s-factor)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입장과(C. Spearman, 1927), 여러 개의 특수요인이 기초정신능력이라고 보는 중다요인론이 있다(L. L. Thurstone, 1941).
한편, 카텔(R. B. Cattell, 1971)은 지능에는 유동적(fluid) 지능과 결정적(crystalized) 지능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고 보고 있다아 유동적 지능은 개인의 명석도와 순응성을 내포하고, 결정적 지능은 경험과 교육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유동적 지능이 높은 사람이 경험이나 교육의 기회에 제한을 받으면, 그의 결정적 지능은 낮다는 것이다.
다.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특성과 발달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터만(L. M. Tennan, 1916)은 지능을 `추상적 사상(사상)을 다루는 능력`이라고 定義(정의)하였고, 웩슬러 (Wechsler, 1942)는 `유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environment을 효과(效果)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종합능력`이라고 定義(정의)하였다.교육심리학제4장 ,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특성과 발달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지능(intelligence)은 학자에 따라 다르게 定義(정의)되고 있다아 지능검사를 처음으로 제작한 비네(A. Binet)는 지능을 `일정한 방향을 설정, 유지하는 경향성, 소망하는 결과를 성취할 목적으로 순응하는 역량 그리고 자기비판력`이라고 定義(정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