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누리망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6:04본문
Download :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hwp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누리망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사범교육레포트 ,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누리망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Internet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
목 차
1. 서론
2. 웹 분류체계에 개발을 위한 개발원칙 및 평가기준
2.1 문헌분류 theory(이론)의 적용
2.2 정보함유율을 사용한 분류항의 선정
2.3 분류체계 사용자의 심성모형 반영
2.4 종합적 논의
3. Internet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작성
3.1 전시분과의 성격규명
3.2 수집 대상 자료(data)
3.3 구성원리 및 주제분석
3.4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 평가 및 개선방향
4. 결론
reference
1. 서 론
오늘날 한편으로는 정보의 홍수라 불리는, 다른 한편으로는 Internet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정보를 찾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정보의 역설적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Internet은 질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가치 없는 정보의 증가, 신뢰성의 저하, 비체계적?무조직적 정보자원의 확산이라는 問題點을 안고 있다
이에 Internet 상에서 지식의 효율적인 전달과 이용을 위해 지식을 어떤 체계로 조직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한 기초단계로 Internet 정보자원에 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 분류, 목록, 주제별 디렉토리 등이 생산되고 있다 Internet 정보자원을 조직하는 방법은 색인과 구조화이다. 다시 말해, 적절하지 않은 시스템의 분류체계는 사용자들…(생략(省略))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1.gif)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2.gif)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3.gif)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4.gif)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5.gif)
![[사서%20교육학%20논문]%20웹분류체계에%20관한%20연구%20-%20인터넷%20공공도서관%20전시분과%20분류체계%20개발과정을%20중심으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C%84%9C%20%EA%B5%90%EC%9C%A1%ED%95%99%20%EB%85%BC%EB%AC%B8%5D%20%EC%9B%B9%EB%B6%84%EB%A5%98%EC%B2%B4%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20-%20%EC%9D%B8%ED%84%B0%EB%84%B7%20%EA%B3%B5%EA%B3%B5%EB%8F%84%EC%84%9C%EA%B4%80%20%EC%A0%84%EC%8B%9C%EB%B6%84%EA%B3%BC%20%EB%B6%84%EB%A5%98%EC%B2%B4%EA%B3%84%20%EA%B0%9C%EB%B0%9C%EA%B3%BC%EC%A0%95%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_hwp_06.gif)
순서
[사서,교육학,논문],웹분류체계에,관한,연구,-,인터넷,공공도서관,전시분과,분류체계,개발과정을,중심으로,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사서 교육학 논문] 웹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공공도서관 전시분과 분류체계 개발과정을 중심으로.hwp( 63 )
다. 색인된 정보자원은 키워드를 사용한 탐색의 대상이 되고, 분류관념을 이용해 구조화된 정보자원은 주제별 디렉토리로 조직되어 네비게이션의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Dennenberg, 1996)
이러한 분류체계가 방대해지면서 사용자가 탐색해야 하는 영역이 급증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하게 되었다. 사용자는 원하는 자료(data)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몰라서 분류체계 속에서 헤매게 되고, 이런 問題點은 자료(data)의 양뿐만이 아니라, 자료(data)들의 부적절한 조직화에 의해 가중되기 쉬우며, 문제 영역이나 관련 정보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들에게 더 자주 발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