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12:53
본문
Download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hwp
양희철, 「원왕가」,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502쪽~517쪽.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에 향찰로 기록되어 있다아 문학사에서 『三國遺事』 소재의 신라 향가 15편과 『均如傳』 소재의 고려 향가 11편은 國字가 없던 시대에 한자 音訓을 차용하여 우리 말소리를 표기하던 ‘鄕札’로 기록하여 전하는 희귀한 가요 자료(data)들이다. 일찍부터 알려진 『삼국유사』와는 달리 『균여전』의 경우 학계에 알려진 것은 불과 70여 년 전이다. 고려 제 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작품은 경남 합천 해인사 운판으로 전하는 『均如傳』 本書의 原名은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이나, 이하 『均如傳』으로 略稱함.
향가를 다룬 논저들은 1500여 편에 이른다. 『균여전』을 통해 麗初 화엄학의 거장으로 교풍을 바로잡고, 교세를 떨친 균여대사(928~973)의 인물과 행적의 전모가 새롭게 드러나면서 화엄 敎學에 관한 60여 권의 저술과 그가 제작한 국풍 가요 「普賢十願歌」가 학계의 지대한 관심 아래 논의, 연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아 황패강, 『향가문학의 理論(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584쪽.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다. 이 향가는 균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화엄경」의 보현십행원의 하나하나에 향가 한 수씩 짓고, 11장은 그 結論으로 된 사뇌가이다. 1921년 日人 아리가케이타로(有賀啓太郞) 간행의 『四十七祠院』에 부록으로 ‘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실으면서이다.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
Download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hwp( 47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6703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A%B7%A0%EC%97%AC%EC%9D%98%20%EB%B3%B4%ED%98%84%EC%8B%AD%EC%9B%90%EA%B0%80%20%EC%97%B0%EA%B5%AC%20%5D-6703_01_.jpg)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6703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A%B7%A0%EC%97%AC%EC%9D%98%20%EB%B3%B4%ED%98%84%EC%8B%AD%EC%9B%90%EA%B0%80%20%EC%97%B0%EA%B5%AC%20%5D-6703_02_.jpg)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6703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A%B7%A0%EC%97%AC%EC%9D%98%20%EB%B3%B4%ED%98%84%EC%8B%AD%EC%9B%90%EA%B0%80%20%EC%97%B0%EA%B5%AC%20%5D-6703_03_.jpg)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6703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A%B7%A0%EC%97%AC%EC%9D%98%20%EB%B3%B4%ED%98%84%EC%8B%AD%EC%9B%90%EA%B0%80%20%EC%97%B0%EA%B5%AC%20%5D-6703_04_.jpg)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6703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20%EA%B7%A0%EC%97%AC%EC%9D%98%20%EB%B3%B4%ED%98%84%EC%8B%AD%EC%9B%90%EA%B0%80%20%EC%97%B0%EA%B5%AC%20%5D-6703_05_.jpg)
순서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
그렇지만 균여의 원왕가 11수를 다룬 논저들은
보현십원가는 승려 균여가 지은 향가로서 「普賢十種願往歌」 또는 「願往歌」라고도 한다. 그 뒤에 원전이 해인사 대장경 補板에 수록되어 있음이 알려지면서『균여전』은 새삼 연구자의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