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의 future(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1:43
본문
Download : 긍정심리학의 미래.pptx
”
-Martin Seligman, 2000
_SLIDE_5_
이탈 - 긍정심리학 운동
세계대전 이후 질병모델에 기초하여 손상된 부분 복구 노력
긍정심리학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지닌 긍정적 측면에 대한 정확한 과학으로서의 실용적인 새로운 패러다임 추구
Martin Seligman : 1998년 미국심리학회 회장직에 오를 때부터 강점 인식, 연구 necessity need 주장. 용어 보급에 힘씀
_SLIDE_6_
이탈 - 긍정심리학 관점 추가의 의미
병리학 모델의 지식 탐구 한계
① 학문적 경계 : 병리학적 모델을 근거해 강점
추구하지 않음
② 우월의식 : 강점 모델 연구하고 중요성 증명
해도 병리적 관점이 여전히 우위에 있음
인간의 긍정적 본성발견
_SLIDE_7_
이탈 - 긍정심리학 관점 추가의 의미
유발 조건
생리학적
效果
행동 경향
도덕적 미를 나타내는 행위.
따뜻하고 개방적이며 유쾌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무엇
스스로 더 나은 사람이 되려는 욕구.
유발 조건
생리학적
效果
행동 경향
인간의 긍정적 본성발견
ex) Jon Haidt의
‘고상함(elevation)’
_SLIDE_8_
긍정심리학의 문제
⑤
④
③
②
①
과학적 원리 및 방법의 토대 위에서 가설 제시 필요함…(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긍정심리학의 future(미래)
긍정심리학의 미래 , 긍정심리학의 미래인문사회레포트 , 긍정심리학 미래
긍정심리학,미래,인문사회,레포트
다.






긍정심리학의 future(미래)
Download : 긍정심리학의 미래.pptx( 11 )
설명
_SLIDE_1_
긍정심리학의 미래
-Going Positive-
_SLIDE_2_
Contents
이탈
긍정심리학의 문제
긍정심리학의 적용 문제
긍정심리학의 훈련 문제
이탈을 마치며:Going Positive
발표 목차
_SLIDE_3_
이탈 - 긍정심리학 운동
“성공 theory(이론)보다는
복잡한 실패theory(이론)에
훨씬 더 많은 투자를 해왔다.”
-Albert Bandura, 1998
_SLIDE_4_
이탈 - 긍정심리학 운동
“인간 문제의 한 가지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충분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