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02:49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hwp
흥분한 관람 군중들이 돌을 던지며 항의하자 곧바로 관덕정 부근에 포진하던 무장경찰이 총격을 가했다. 이들 가운데는 15세 초등학생과 젖먹이 아이를 가슴에 안은 채 피살된 여인도 있었다.
이 발포 사건으로 제주도 내 민심은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점점 생소한 하나의 사건이 되어간다. 관덕정을 거쳐서 서문통으로 시위대가 빠져나간 뒤 관덕정 부근에 있던 기마 경찰의 말굽에 어린아이가 다치는 사태가 일어났다.
4.3이란?
광복이후 남한만의 단독government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군定義(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 `4.3특별법`에 의하면 제주 4.3사건이란 1947년 3월1일을 기점을 하여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제주읍에서는 북국민학교 행사가 오후 2시에 끝나자 곧바로 가두시위가 벌어졌다. 4.3을 기억하고 그 시대에 희생되어야했던 사람들을 기억하기위해, 그리고 모두가 알아야 할 이 사건을 나부터 이번 assignment를 기회 삼아 4.3을 더욱 깊숙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3월 10일 제주도청을 시발로 총파업이 이어졌다. 눈 깜짝할 사이에 구경나온 민간인 6명이 사망했다. 도청 등 관공서는 물론 은행·회사·학교·운수업체·통신기관 등 도내 166개 단체에 41,211명이 파업에 들어갔고, 현직 경찰관까지 파업에 동참했다
조병옥은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 ,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제주
순서
사회과학,제주,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러나 미군정과 경찰은 사태 수습보다는 시위 주동자를 검거하는 일에 주력하였다.
Download :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hwp( 92 )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
설명
[사회과학] 제주4.3 보고서
4.3은 제주도민에게는 아픈 손가락이다. 이에 좌익 진영은 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미군정과 경찰의 만행을 폭로하며 희생자 구호금 모집에 돌입했다.
[4.3사건의 도화선-3.1 발포사건 발발]
1947년 3·1절 기념대회가 각 읍·면별로 치러졌고, 제주 북국민학교에는 제주읍·애월면·조천면 주민 3만여 명이 모였다. 그리고 잊혀 지지 않을 상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