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산책 (1차 과제(probl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4:56본문
Download : 1차-교재 1-3단원(pp15-78)요약.hwp
아이러니는 겉으로 나타난 말과 실질적인 의미 사이의 괴리로부터 생겨난다. 주체가 객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그 객체가 비소하고 유한한 것으로 부정되는 골계미가 탄생되는 반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그 객체가 위대하고 무한한 것으로 긍정되는 숭고미가 탄생된다
이 골계의 하위 범주로서 해학과 풍자가 존재한다 해학과 풍자의 차이는 부정된 대상 속에 주체가 포함되느냐의 여부에 있다 해학은 자기 부정을 포함하는 주관적 골계이나, 풍자는 자기 부정을 포함하지 않는 주관적 골계이다. 최재서의 [풍자문학론]을 필두로 안중언의 [풍자문학론 비판], 한식의 [풍자문학에 대하여], 이기영의 [모델과 풍자소설] 등으로 이어진 이 ‘풍자문학론’은 문학 위기의 타개책으로 주…(drop)
2. 미적 현대성, 이미지즘, 감각의 사용법
Download : 1차-교재 1-3단원(pp15-78)요약.hwp( 75 )
순서
다. 이 중 숭고미와 골계미는 서로 대립되는 미적 범주이다.
우리 문학에서 해학과 풍자는 가전체 소설, 고대소설, 판소리, 시조, 가사, 가면극 등의 고전문학 장르들뿐 아니라 현대시와 소설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문학적 전통이 되고 있다 풍자에 대한 theory 적 고찰로서는 1930년대의 ‘풍자문학론’이 특기할 만하다. 반면 풍자는 주체와 대상을 분리시키고 대상을 부정함으로써 인간의 어리석음과 악덕을 폭로하고 공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시산책-오형엽책에 있는 1-3단원(pp.15-78) 요약: 시인용 제외, 설명부분만 요약 한것입니다(책 읽고 간단히 요약한 것 입니다.)1. 현대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2. 미적 현대성, 이미지즘, 감각의 사용법3. 참여와 순수의 변증볍 - 1960년대 시의 지형도 , 현대시 산책 (1차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현대시의 지형과 맥락 오형엽 수원대 현대시 산책 1차 과제
현대시산책-오형엽
설명
<현대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
1. 공계로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
2. 김수영 - 풍자와 해학의 길항
3. 김지하 - 풍자에서 우주적 해학으로
4. 김기택 - 냉소적 아이러니
5. 웃음과 울음의 변증법
<미적 현대성, 이미지즘, 감각의 사용법>
1. 미저 현대성의 이미지즘
2. 이미지즘 계열의 시와 감각의 사용법
3. 감각의 사용법, 이미지의 두 차원
<참여와 순수의 변증볍 - 1960년대 시의 지형도>
1. 1960년대의 서사적 지형
2. 참여시, 혹은 민중적 감수성
3. 순수시, 혹은 언어 實驗(실험)
4. 참여와 순수의 변증법
5. 전통적 서정시
제1부 현대시사의 지형과 맥락
1. 현대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
1) 골계로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
현대시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기지와 아이러니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이 용어들이 지닌 미학적 관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아미,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는 흔히 미학의 기본 범주들로 일컬어진다. 해학은 본래적 자아가 경험적 자아를 향해서 짓는 웃음이며, 부정을 통해 부다 높은 긍定義(정의) 세계를 지향한다. 대체로 아이러니는 언어적 아이러니와 극적인 아이러니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언어적 아이러니는 겉으로 하는 말이 내용적으로 의도된 뜻과 다른 경우에 생기는 것이고, 극적 아이러니는 작품 자체가 전체적으로 아이러니를 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EC%9A%94%EC%95%BD_hwp_01.gif)
%EC%9A%94%EC%95%BD_hwp_02.gif)
%EC%9A%94%EC%95%BD_hwp_03.gif)
%EC%9A%94%EC%95%BD_hwp_04.gif)
%EC%9A%94%EC%95%BD_hwp_05.gif)
%EC%9A%94%EC%95%BD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1. 현대시의 해학, 풍자, 아이러니
현대시 산책 (1차 과제(problem))
3. 참여와 순수의 변증볍 - 1960년대 시의 지형도
현대시의,지형과,맥락,오형엽,수원대,현대시,산책,1차,과제,인문사회,레포트
책에 있는 1-3단원(pp.15-78) 요약: 시인용 제외, 설명(說明)부분만 요약 한것입니다
(책 읽고 간단히 요약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