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21:40
본문
Download :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hwp
즉 오류제어는 데이터나 제어정보의 파손을 대비하는 기능이다.
(7) 순서결정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가…(투비컨티뉴드 )
순서
다.
프로토콜은 여러 계층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각 계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6) 동기화
두 개의 프로토콜 개체에서 동시에 초기화 상태, 검사점 상태, 종료 상태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명확하게 정이하는 상태를 동기화라고 함. 즉, 처음 순간의 체크 포인터의 기능과 통신 종료의 수행과 같이 두 개체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캡슐화(encapsulation)
순수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첨가하는 과정을 말함.
(4) 흐름제어(flow control)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개체가 근원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를 제한 하는 기능.(정지-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5) 오류제어(error control)
전송 중에 발생 가능한 오류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제반의 기능을 말한다.
...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






,기타,레포트
Download :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hwp( 33 )
1.3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1.3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프로토콜은 여러 계층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각 계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비동기식 통신의 경우 패리티 비트 또는 CRC를 추가하여 수신 데이터에서 오류를 찾아내고 동기식 통신의 경우는 전송 프레임의 순서를 검색하여 전송 오류를 검출한다. ... ,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기타레포트 ,
설명
레포트/기타
1.3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프로토콜은 여러 계층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각 계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따
(1) 단편화(fragment)
응용 개체가 데이터를 메시지 단위나 연속적인 스트림 형태로 보내면 낮은 계층에서는 이 데이터를 같은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작업.
단편화 하는 이유; 통신망에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며,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의 크기가 작아야 오류 제어가 편리하고, 작은 버퍼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리고, 전송 설비를 공유하는 경우 적은 시간으로 균등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2) 재합성(reassembly)
단편화된 데이터를 응용 레벨에서는 다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재합성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