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4 08:55
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hwp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Download :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hwp( 29 )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그 무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1. <龍飛御天歌>의 제작 배경
Ⅱ. 본론





설명
.
지금까지 이 문헌은 국어학사에서나 국문학사에서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연구근거가 되고 있다 국어학사에서 볼 때 15세기 국어의 생생한 모습이 그대로 담겨져 있으니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data(자료)이겠거니와 문학사적으로도 중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기에 장르․문체․내용․구조, 한역시와의 제작 선후관계, 문학적 가치평가 등의 연구업적이 이루어졌다. 1445년(세종 27년) 한글로 된 노래의 본문과 그 뜻을 풀이한 한시가 만들어졌고, 47년 歷史(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한문으로 된 글이 완성되었다. 그리하여 세종 28년 훈민정음이 반포되자 『태종실록』을 상고하여 한역시를 삽입하였고, 동29년 2월에는 사실과 엇귀에 대한 주해를 붙여 10권을 만들어 올렸다. 1442년(세종24) 봄에 경상․전라 두 도의 觀察사에게 전지를 내려, 태조가 운봉에서 왜구와 싸우던 사적을 탐문하여 보고하라 하여 <용비어천가>편찬 작업을 착수하였다. 정병욱,『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4, p.152.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
다.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순서
세종은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을 뿐 아니라, 그 실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용비어천가>를 찬정하게 하였다.
<龍飛御天歌>는 조선 세종 때 권제․정인지․안지 등이 지은 것으로 목조에서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에 이르는 6대의 행적을 중국(China) 고사에 비유하여 건국의 정당성을 노래하였다. 다시 동년 5월에는 <용비어천가>를 음악에 맞추어 치화평 ․ 취풍향 ․ 봉래의 ․ 여민락 등의 악보를 만들어 공사 연향에 쓰게 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는 특별히 <龍飛御天歌>의 장르에 관련한 몇몇 대표적인 理論(이론)들을 검토해 보고, 그 타당성을 따져 보고자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