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7 19:33
본문
Download :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hwp
그의 유명한 저서인 “한 행동주의자가 본 심리학” (Psychology from the Standpoint of a Behaviorist)은 1919년에 출판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덕 교육 무용론이 주창되기도 하였다. 도덕 교육과 도덕성에 대한 理論은 대개 정신 analysis학, 행동주의, 인본주의, 인지심리학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정신 analysis학으로 인간의 발달을 살핀 프로이트는 성격이란 어린 시절에 모두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는 심리학자들이 의식의 상태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었던 내성법(introspection)에 큰 불만을 표시했으며, 인간의 행동에 대한 정신analysis학적인 해석…(투비컨티뉴드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스키너와로저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hwp( 81 )
설명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스키너와로저스 ,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인문사회레포트 ,
스키너와 로저스의 인간관






다. 따라서 아동의 성격은 전적으로 부모의 책임이며, 5~6세 이후에는 성격을 變化시킬 수 없다고 하였다.
1. 들어가며
2.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3. 로저스(Carl R. Rogers)
4. 마치며
1. 들어가며
개인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계속 되어 왔다. 특히 인간의 성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으며, 그 내용은 필연적으로 도덕성이라는 관념과 함께 연구되었다. 그는 심리학이 마음의 과학이 되어서는 안되며, 행동의 과학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도덕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수록 인간의 도덕성은 발달 가능하다는 견해가 주된 입장이 된다된다.
2.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 스키너와 급진적 행동주의
스키너는 줄곧 행동주의를 주창하였으며, 또 영향력 있는 대변자였기 때문에, 행동주의의 창시자인 왓슨(J.B. Watson)의 후계자로 볼 수 있다 죤스 홉킨스 대학의 교수였던 왓슨은 1912년에 그 수 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퍼진 인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주장하기 스타트했다. 콜버그나 길리건, 그리고 지금까지 도덕성에 대해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도덕성이 발달한다는데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는 인간의 성격과 도덕성이 발달 불가능하다고 본 프로이트와 발달 가능하다고 본 콜버그 사이에서 주장되었던 행동주의와 인본주의의 대표적 학자인 스키너와 로저스의 理論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