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싸학] 임동마을에 대하여 /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유래(由來) 화림리(花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1:56
본문
Download : [역사학] 임동마을에 대하여.hwp
1932년 행정구역개편시 화림리 1구에 속했다. 1988년 9월 1일 신촌마을과 함께 화림 3리로 조정되어 현재에 이르는데 2개반중 1반으로 이루어졌다.
![[역사학] 임동마을에 대하여-112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C%9E%84%EB%8F%99%EB%A7%88%EC%9D%84%EC%97%90%20%EB%8C%80%ED%95%98%EC%97%AC-1129_01.gif)
![[역사학] 임동마을에 대하여-112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C%9E%84%EB%8F%99%EB%A7%88%EC%9D%84%EC%97%90%20%EB%8C%80%ED%95%98%EC%97%AC-1129_02_.gif)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유래(由來) 화림리(花林里)의 지명은 화곡(花谷)마...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설명
역사학 임동마을에 대하여 /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유래 화림리花林
[역싸학] 임동마을에 대하여 /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유래(由來) 화림리(花林
Download : [역사학] 임동마을에 대하여.hwp( 52 )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origin 화림리(花林里)의 지명은 화곡(花谷)마을의 화(花)자와 임동(林洞)의 임(林)자를 각각 취하여 화림리라 하였다.𠍚년경 여흥민씨 閔泳善(1907∼1966)이 이양 오류리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𠋍년 호구총수에는 능주목(綾州牧) 남일면(南一面) 광대촌(廣大村)으로 기록되어 있고, 1864년 대동지지에는 능주목 석정면(石亭里), 1895년 5월 1일 전국행정구역개편에 의거 나주부(羅州府) 능주군(綾州郡) 부춘면(富春面) , 1896년 8월 4일 지방행정구역개편에 의해 전라남도(全羅南道) 능주군 부춘면,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능주군 부춘면 임동(林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3년 능주군의 폐지로 화순군(和順郡) 부춘면,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해 화순군 춘양면(春陽面) 화림리(花林里)(화곡리, 광대촌, 점촌, 임동)에 편입되었다.𠋧년경 파평윤씨 尹一模(1793∼ )가 광산 대촌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임동마을은 마을입구에 비사리등과 큰솔밭 지명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목이 울창하여 임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주산물(쌀,보리), 특산물(고추, 인삼, 야채, 담배) 주소득원(쌀,보리) ●성씨 남평文(11), 하동鄭(2), 광산金(2), 제주梁(2), 파평尹(2), 밀양朴(2), 여흥閔(2), 장흥高(2), 김해金(1), 능성具(1), 남원尹(1). ●마을형성 임동마을로 마을 뒷쪽으로 작치산(鵲雉山)이 있으며 마을앞은 평지이고 동쪽에는 지석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른다.𠍚년경 제주양씨...
임동마을에 대하여.. ●지명유래 화림리(花林里)의 지명은 화곡(花谷)마...
다. 화림리는 화곡마을, 광대월마을, 임동마을, 신촌마을 등 4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졌다. 마을은 동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𠈴년경 남평문씨 文信克(1617∼1683)이 다라실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