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집단 인센티브제도로써 성과급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07:55
본문
Download : 성과급제.hwp
3. 개인성과급의 장단점
1) 장점(長點)
① 성과급제에 있어서는 작업성과와 임금이 정비례하므로, 근로자에게 합리성과 공평감을 준다.
② 종류
일정한 작업에 대하여 표준시간을 정해 놓고 표준시간 이하로 작업을 끝마치면 절약임금의 일부를 근로자에게 분배하는 방식으로, ⅰ)비도식 할증급은 절약임금의 3/4을 종업원에게 배분하고, ⅱ)할시식 할증급은 절약임금의 1/3 또는 1/2을 종업원에게 배분하며, ⅲ)로완식 할증급은 절약임금의 규모가 작으면 배분율이 높아지고 그 규모가 크면 배분율이 작아진다. , 개인과 집단 인센티브제도로써 성과급제법학행정레포트 , 성과 급제
성과,급제,법학행정,레포트
개인과 집단 인센티브제도로써 성과급제
다.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2) 복률성과급제
근로자의 작업능률을 자극하기 위하여 작업성과의 고저에 따라 적용임금률을 달리 산정하는 방법이다.
2. 시간기준 성과급제도
1) 표준시간급제
단위시간당 임금률에 표준시간을 곱하여 임금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2) 할증급제
① 의의
시간급과 성과급의 절충형태로서, 최저한의 임금을 보장하면서 일정한 표준을 넘는 성과에 상대하여는 할증임금을 지급한다.
② 작업능률을 자극할 수 있고, 따라서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근로자의 소득증대에 效果(효과)가 있다
③ 성과급에서는 시간급에서보다 …(생략(省略))
순서
설명
Download : 성과급제.hwp( 61 )



성과 급제
레포트/법학행정
성과 급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 방식은 비반복적이고 많은 기술을 요하는 과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개인과 집단 인센티브제도로써 성과급제
Ⅰ. 들어가며
1. 의의
성과급제도는 노동성과 또는 업적의 향상을 작업자의 임금과 연관시키는 제도로서. 이를 자극임금제도라도고 한다. 즉 인센티브제도는 종업원이나 집단이 수행한 작업성과나 능률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형태로서 기업의 노동성과를 자극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Ⅱ. 개인성과급 제도
1. 생산량 기준 성과급제도
1) 단순성과급제
제품 한 개당 또는 작업 한 단위당 임금단가를 정하고, 여기에 실제의 작업성과를 곱하여 임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