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iptv.co.kr 2011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core체크 > abciptv6 | abciptv.co.kr report

2011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core체크 > abciptv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bciptv6

2011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core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7:00

본문




Download : 20112기말_국문4_한국희곡론.pdf




제13장 유치진론

제14장 함세덕론

제3장 희곡의 인물
- 무형의 극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경우를 가리킴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3. 일반적으로 play는 놀이라는 의미가 우선하며 희곡작품이라는 의미는 나중에 보태어진 것

제1장 희곡의 본질



[해설] environment극
4. 무엇인가를 모방하여 남에게 보여 주려는 배우의 행위와 그런 행위를 의미 있게 지켜보는 관객의 행위가 맞물리면서 연극의 기원이 시작됨
제8장 판소리의 세계

2. 아리스토텔레스는 ‘보여 주기(showing, mimesis)`라는 모방양식을 제시함
제1장 희곡의 본질

제12장 송영론

Download : 20112기말_국문4_한국희곡론.pdf( 28 )


방송통신 > 기말시험


제7장 전통극의 세계
한국희곡론,한국희곡론기말,한국희곡론기출,한국희곡론핵심,한국희곡론족보
- 중략 -
제10장 1920년대의 연극과 희곡
<1장 출제예상문제>
제1장 희곡의 본질 제2장 희곡의 구조 제3장 희곡의 인물 제4장 희곡의 언어 제5장 희곡의 논리와 관념 제7장 전통극의 세계 제8장 판소리의 세계 제10장 1920년대의 연극과 희곡 제11장 김우진론 제12장 송영론 제13장 유치진론 제14장 함세덕론 제15장 오영진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순서

ⓛ 부조리극 ② 잔혹극 ③ 서사극 ④ environment극





1. 기존의 극장건물이 아닌 방, 차고, 다락, 창고 등과 같은 모든 공간을 연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연극의 형태는 무엇인가?
14022_001.jpg 14022_002.jpg 14022_003.jpg 14022_004.jpg 14022_005.jpg

제15장 오영진론
제2장 희곡의 구조
설명

[정답] 4
1. 희곡은 극작가 개인의 고유한 문학적 활동인데 비해 연극은 배우와 연출가, 무대 디자이너 등이 극작가의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펼치는 종합적인 예술활동
5. 극장: 관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어떤 삶이나 경험, 느낌 등을 재현 &#8228; 모방 &#8228; 표현하기 위해 공간을 활용한 곳
제4장 희곡의 언어
- 기존의 건물이 아닌 방, 차고, 다락, 창고 등 모든 공간을 연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연극의 형태
제11장 김우진론
2011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core체크

6. environment극: 기존의 극장 건물이 아닌 방, 차고, 다락, 창고 등과 같은 모든 공간을 연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연극의 형태
- 중략 -





제5장 희곡의 논리와 관념

- 무대와 객석의 공간이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배우와 관객이 공연 도중 한데 뒤섞이기도 함






다.
전체 40,9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abciptv.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