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iptv.co.kr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 abciptv6 | abciptv.co.kr report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 abciptv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bciptv6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3:49

본문




Download :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hwp





네 번째 화제는 ‘정해진 법 (정법)’으로서 이는 ꡔ선문염송집ꡕ의 제13칙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떤 외도가 ‘어제는 어떤 법을 말씀하셨습니까?’라고 [부처님께] 여쭈어 보자, 부처님은 ‘정법을 말했네’라고 하셨다.초의艸衣의선禪사상과특징에관한연구 ,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초의는 처음 다음과 같은 지옌푸(천복, ?-1045)의 송을 들었다: “영산회상(령산회상)의 여래선(여래선) 문답 별로 현묘한 것 없네. 오늘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어제는 정해졌다하니 할미 치마 빌려 입고 할미 같이 절하네.” 다음은 이에 대한 초의의 주석이다:
곧 여기서 논의된 문답과 영산 회상의 문답이 모두 여래선으로서 전과 다름이 없음을 밝힌 것이다.







즉, 부처님이 자리에 올라 침묵하는 모습이 한없이 위대하기 때문에, 지혜 제일로 알려진 문수보살조차도 그것을 표현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ꡔ선문사변만어ꡕ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자세한 논변은 뒤로 미룬다. 이는 언어나 문자로는 실상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며, 또한 언설보다 침묵이 더욱 중요함을 강조하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따 그리고 당시 풍미하고 있던 백파선사의 ꡔ선문수경ꡕ에서 임제 삼구에 모든 선을 배당하여 분류하려 한 시도는 상식에도 어긋난다. 외도가 ‘오늘은 어떤 법을 말씀하시렵니까?’라고 다시 묻자, 부처님은 ‘부정법(부정법)을 말하려네’라고 하시니, 외도가 ‘어제는 정법을 말씀하셨는 데 오늘은 왜 부정법을 말씀하시려 하십니까?’ 하므로, ‘어제는 정해졌지만 오늘은 정해지지 않았네’라고 하셨다. 대개 영산회상 시절부터 본래 두 가지 선이 있었으니, ‘꽃을 들어 보이심’은 격외선(격외선)으로서 말로 가르친 것에 포함되지 않는 바, 조사선(조사선)이다(난취옌[남천, 748-834]의 이른바 활구[활구]요, 린지의 이른바 제1구다). [그리고,] 방편으로 문답을 개설하여 실상을 나타내 보인 것이 여래선이다(린지의 이른바 제2구이며, 진각의 이른바 …(투비컨티뉴드 )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설명

Download : 초의(艸衣)의 선(禪) 사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hwp( 33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초의艸衣의선禪사상과특징에관한연구

레포트/인문사회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1.gif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2.gif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3.gif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4.gif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5.gif 초의(艸衣)의%20선(禪)%20사상과%20특징에%20관한%20연구_hwp_06.gif

다.
전체 40,9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abciptv.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