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인간화, 해방, 평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9:48
본문
Download : 인간화, 해방, 평화.hwp
교회의 본연의 목적은 장례를 치르는…(skip)
Download : 인간화, 해방, 평화.hwp( 13 )
인간화해방평화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간화, 해방, 평화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②해방
출애굽사건과 깊은 관련이 있음. 출애굽사건이란 인간유린과 극한적인 억압의 상태에서 고통하고 있었`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께서 해방시키시고 인간다운 삶을 돌려주신 놀라운 history를 말한다.”(이웃을 섬김이 진정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것)
J. A. T. Robinson의 ‘신에게 솔직히’-유신론의 종말을 주장(이웃가운데에 하나님이 계심을 주장)
K. Lanner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일치’-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
하나님-교회-세상(구원의 방주 모델) : 전통적인 구조
하나님-세상-교회 : 세속화 신학의 구조
K. Lanner “교회 내향성의 병”-성직자들이 걸리는 병(나치시대의 독일 카톨릭 지도자들을 빗됨-유태인 학살의 방조와 협력) : 교회의 본연의 목적을 상실하는 엄청난 죄악. 교회는 인간과 세상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출애굽사건은 해방의 사건이라는 것이 본질이다. 하나님이 해방의 신이라면 인간도 이 해방에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화해방평화 , 인간화, 해방, 평화인문사회레포트 ,
인간화, 해방, 평화
①인간화
세속화 신학에서 주장. 비인간화된 인간을 인간화. 세속화 신학에서는 인간을 위해서 사는 것과 세상을 위해서 사는 것이 진정한 예배라고 전제한다.
본회퍼의 참 섬김-“하나님 없이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을 섬긴다. : 교회는 이 버스에 치어죽은 행인들의 장례를 치러주었다.
다.
본회퍼의 ‘미친 운전사 비유’(6백만 명을 학살한 히틀러의 만행)-미친 운전사가 몰고 다니는 버스는 행인들과 버스 승객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③평화
하나님의 통치에 입각한 하나님의 평화의 세계를 만드는 것이 교회의 궁극적인 목표(goal)다.
설명
인간화, 해방, 평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한국적인 상황에서 ‘해방’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는 것은 한국정부가 이 어휘를 부정적으로 각인시켰기 때문일것이다 해방은 성서적인 특징이다. 전통적인 한국교회에서는 출애굽사건을 영적으로 해석(애굽을 죄악으로 비유)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것은 성경을 잘못 해석하는 것이다. 출애굽에서 나타난 하나님은 해방의 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