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수조원 규모 전군 시설공사 IT로 통합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13:30본문
Download : 111208015924_.jpg
프로세스 표준화는 통합 개편으로 변경된 시설본부 업무 environment을 반영해 이뤄진다.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경기북부, 경기남부 등 6개 지역시설단도 창설했다. 이 사업은 최근 LG히다찌가 주사업자로 선정돼 다음주 착수된다 내년 8월 완료를 목표로 두고 있다
설명
각군별로 전국서 진행되는 모든 시설공사 데이터를 국방부 내 지휘부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업관리정보시스템도 구축한다. 기획재government 가 추진하는 국유재산법 개정에 따른 變化도 반영할 예정이다.
레포트 > 기타





국방부, 수조원 규모 전군 시설공사 IT로 통합관리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로 전 군에서 진행되는 각종 시설공사를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정보체계 기반으로 국방시설본부 전문역량을 강화해 스마트한 조직을 만들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군에 흩어져 있던 시설관리 인력도 국방부 직속 국방시설본부로 통합했다.
7일 국방부는 각 군별로 연간 4000건 이상 실시되는 시설공사 관리를 통합하기 위해 국방시설통합정보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data(자료) : 국방부
국방부, 수조원 규모 전군 시설공사 IT로 통합관리
순서
<표>국방부 시설공사업무 environment變化에 따른 IT사업 상황
국방부, 수조원 규모 전군 시설공사 IT로 통합관리
국방부가 육·해·공군별로 진행되는 수조원 규모의 각종 시설공사를 IT기반으로 통합 관리한다.
Download : 111208015924_.jpg( 43 )
국방부는 이번 프로젝트로 △사업관리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사업관리정보시스템 구축 △국방시설통합정보체계 기능개선 등을 진행한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국방부, 수조원 규모 전군 시설공사 IT로 통합관리
다. 이 시스템은 계약자·감독관 운영, 조회용사업단위 운영, 사업수행주체 운영, 총괄관리 운영, 지휘정보 등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 국방시설통합정보체계 중 시설계획관리와 국유재산관리 등 총 432개 기능에 대한 개선작업도 수행한다. 국방부는 지난 1일 각군 시설공사 담당인력을 통합해 기존 190명이던 국방시설본부를 1000명 규모로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