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인문] 창덕궁에 관련되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21:46본문
Download : [인문] 창덕궁에 대해서.hwp
이방원은 개경에서 자신과 경쟁관계에 있던 형 방간을 제거하는 이른 바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세자가 되었다. 이른 바 `제1차 왕자의 난`은 왕자들 사이의 대립이기 보다는 이방원과 정도전의 대결이 폭발한 것이었다. 세자가 된 이방원은 실질적인 권한을 장악하고, 부왕 태조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등 정지 작업을 한끝에 1400년 11월 결국 정종에게서 왕위를 넘겨받았으니 이가 태종이다. 그러나 신료들의 반대도 만만하지 않았다.
싸움은 재상이 실질적인 주도권을 행사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던 신흥사대부의 core인물 정도전과 국왕이 명실상부하게 주도권을 장악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던 왕실의 core인물 이방원으로 압축되었다.
그러나 이때 태종은 마음속으로 이미 한양으로 갈 것을 정해 놓았기에 무악을 둘러본 것은 단지 반대 견해 을 재압하기 위한 요식 행위에 지나지 않았다.
이 싸움은 결국 1398년 (태조 7) 8월 이방원이 태조의 후계자로 후비 소생 방석을 세자로 세워 후원하던 정도전 등을 살해한 이른 바 `제1차 왕자의 난(방석의 난)`으로 폭발하였다. , [인문] 창덕궁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창덕궁 대해서
[인문] 창덕궁에 관련되어
Download : [인문] 창덕궁에 대해서.hwp( 72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20창덕궁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B0%BD%EB%8D%95%EA%B6%81%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인문]%20창덕궁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B0%BD%EB%8D%95%EA%B6%81%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인문]%20창덕궁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B0%BD%EB%8D%95%EA%B6%81%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다. 태종은 종묘에 들어가서 세 후보지 , 곧 개경, 한양, 무악의 길흉을 점쳐 정…(drop)
[인문] 창덕궁에 대해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에 태종은 집요하게 재천도를 추진하던 끝에 1404년 (태종4) 10월에는 직접 재천도의 후보지의 하나였던 무악을 둘러보러 나섰다.
[인문] 창덕궁에 관련되어
창덕궁에 마주향하여
1. 창덕궁의 창건 배경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후, 1394년에 한양을 도읍지로 정하고 경복궁을 중건한다. 정종은 즉위한 지 다섯 달이 되는 1399년 2월 개경근방에 있는 자신의 생모 신의왕후 한씨의 능인 제릉에 참배하러 갔다가 그대로 개경에 머물렀다.
태종은 즉위하면서 바로 태조의 뜻을 받들어 한양으로 재천도를 강력하게 추진 하였다.
제 1차 왕자의 난으로 태조는 왕위를 둘째 아들 정종에게 물려주고 상왕(上王)으로 나 앉았다.인문,창덕궁,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실질적인 개경환도였다. 그러나 새 왕조의 주도권을 놓고 왕조 개창의 주역들 사이에서 다툼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