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 /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2:43본문
Download :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hwp
이렇게 한중 파열음, 파찰음은 서로 다른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의한 상이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현대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超分節 音素(suprasegment)인 성조의 effect(영향) 으로 상대방의 언어를 인지...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중국어 파열음은 조음 장소에 있어서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雙脣, 舌尖中, 舌根의 세 부류1)로 나뉘나, 조음 방법에 있어서는 氣息의 유무에 따라 送氣와 不送氣의 두 범주가 음운론적으로 대립되어 6개의 음소가 체계를 이룬다. 破擦音 역시 세 가지의 조음 방법으로 대립되는데, 조음 위치는 경구개 하나로 3개의 음소가 체계를 이루고 있다아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은 조음 방법에 따라 된소리(경음), 순한소리(평음), 거센소리(격음)로 나뉜다.
3.2.2 파찰음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 1. 머리말 2. 한중 ...
설명
관계 연구
3.2 중국인이 한국어를 발음한 경우
2.1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열음 비교
한국어는 兩脣, 齒莖, 軟口蓋의 세 調音 장소에 따라 각각 조음 방법을 달리하는 세 쌍의 破裂音이 대립을 보임으로써 9개의 음소가 체계를 이룬다.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 /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
3. 외국인에게 나타나는 현상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 1. 머리말 2. 한중 ...
3.1 한국인이 중국어를 발음한 경우
순서
3.2.1 파열음
3.1.1 파열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머리말
〈 目 次 〉
3.1.2 파찰음
2.2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 비교
1. 머리말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 /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
2. 한중 파열음, 파찰음의 비교
參考文獻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한국어의 된소리와 순한소리 그리고 중국어 성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韓, 中 두 언어의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Download : 한중 분절음소와 초분절음소와의 관계 연구.hwp( 26 )
5. 結論(결론)
4. 두 언어의 분절음소와 초분절 음소와의 관계
다. 파찰음은 조음 장소에 따라 舌面, 舌尖前, 舌尖後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며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과 마찬가지로 送氣와 不送氣로 대립되어 6개의 음소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