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 헤르츠 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18:08본문
Download : 프랑크 헤르츠 실험.hwp
그러나 그 충돌에서 에너지를 잃어버린다면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잃어버리는 경우 그 잃어버린 에너지는 당연히 원자에 흡수되고 이러한 충돌을 비탄성충돌이라 한다) 전류는 줄어들 것이다. 운동에너지를 거의 잃지 않기 때문에 전자의 운동방향이 바뀔 뿐으로 전류의 양에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다.예비보고서9-프랑크헤르츠實驗(97)
프랑크 헤르츠 실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런 조건이 충족될 때 전자와 완전비탄성충돌을 하게 되어 전자의 모든 운동에너지를 빼앗게 된다
G2의 전압을 서서히 올려주어 G2 주위에서의 운동에너지가 마침내 원자의 첫 번째 여기에너지로 되었을 때 그 지점에서 전자는 자기의 모든 에너지를 잃고 멈추게 될 것이다.
관속에 들어 있는 원자는 바닥상태의 에너지로부터 띄엄띄엄한 에너지준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아무 값의 에너지나 흡수하여 여기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에너지 준위의 차이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에너지를 가진 것을 만났을 때 그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올라간다.예비보고서9-프랑크헤르츠실험(97) , 프랑크 헤르츠 실험공학기술레포트 ,
프랑크 헤르츠 實驗
프랑크 헤르츠 實驗에 대상으로하여 설명하고 있다아
필라멘트를 가열하면 K(음극)에서 방출된 열전자는 G2(제 2 그리드)에 의해 가속되어 그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게 된다 이 전자가 G2를 통과한 후 P(양극)와의 역전압 V0에 의해 약간 감속되어 P에 흡수되는데 그 정도는 전류계의 전류를 측정(measurement)하므로써 알 수 있다 G2에 걸리는 가속전압을 증가 시키면 더 많은 전자가 P에 도달하여 플레이트 전류는 증가한다. 만일 전자가 관속에 들어 있는 기체 원자와의 충돌에서 그 운동에너지가 원자의 내부에너지로 흡수되지 않는다면 전자의 질량이 원자의 질량에 비해서 월등히 작은 관계로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거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이런 조건이 되었을 때 전류계의 눈금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그 전압을 초과하여 더 증가시키면 완전비탄성충돌이 일어나는 지점은 G2로부터 앞쪽으로 당겨진 곳이 되어 그곳에서부터 전자는 G2에 이르는 동안 다시 가속된다 G2의 전압이 여기에너지의 두 배가 될 때까지 또다시 전류는 증가하지만 두 배가 되면 G2부근에서 두 번째의 탄성충돌로 에너지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두 번째로 전류계…(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순서






Download : 프랑크 헤르츠 실험.hwp( 16 )
,공학기술,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