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23:15본문
Download : 중세.hwp
물론 기독교를 지키고 끝까지 인도 하시는 분은 하나님으로서 그분의 섭리와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달렸다. 이 공회에서 몬타누스는 정죄 되었다. 이에 위협을 느낀 소아시아 감독들은 AD160년 직후에 일차 또는 그 이상의 회의를 열었다. Paul. Tillich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한국 신학연구소 1983) P.71.
새롭게 폭발한 예언자적 열정과 결합되어 형성된 성령의 특별한 섭리에 대한 사상과 임박한 종말에 대한 확신등이 몬타니즘 속에 나타나고 있따 이 운동은 그리스도교를 규칙과 같은 것에 고정화 시킨데 대한 영(the spirit) 의 반동이었다. 그러나 歷史적으로 우리 신앙의 뿌리를 더듬어 볼 때 거기에는 수많은 인간의 오류와 시행착오 속에서 진리인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지켜온 것을 알 수 있따 그러므로 …(투비컨티뉴드 )
순서






중세322 , 중세인문사회레포트 ,
중세
Download : 중세.hwp( 48 )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상과 같이 네 부류의 이단 사상들을 살펴 보았으나 이 외에도 많은 유사한 이단 사상들이 끊임없이 일어남으로 교회는 이에 대처하여 다방면으로 대책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몬타누스는 그를 통하여 보혜사 성령의 시대가 도래했으며 선지자 몬타누스 자신과 그를 도우는 두 여인을 통하여 성령은 말씀하신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은 성령의 사역에 대한 몬타누스의 잘못된 이해 때문이었다.
3. 結論(결론)
지금까지 고대 교회에 나타난 기독교 정통 수호의 방법으로서 먼저 이단 사상들을 알아 보았다. 이것이 歷史상 최초의 공회(Symod) 였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새 예루살렘이 하늘로부터 내려와서 페푸자(Pepuza) 라는 도시 근처에 서게 되어 있다고 했다.설명
중세322
레포트/인문사회
※ 차 례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1.서 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2
2.본 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1) 에비온파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
2) 영지주의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
(1)이원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2)구원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3)창조주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4)가현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5
(5)인간관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
(6)부활과 최후심판의 부정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
(7)비밀전통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
3)마르시온주의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
4)몬타누스주의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7
3.결 론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8
참 고 도 서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0
몬타누스주의
몬타니즘(Montanism) 이라고 하는 운동은 근본적으로 그 성격상 기독교 운동이었다. 이 접에서 몬타니즘은 영지주의나 마르시온주의와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일에서 떠나 페푸자로 가서 종말을 기다려야 된다고 했다. 이 운동은 교회의 신앙 그대로 창조자 하나님과 구속자 그리스도를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