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6 13:51
본문
Download :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hwp
”(대승기신론소 권1)
2. 유식과 원효의 비판
인도의 유식(유가)학파와 이를 계승한 중국(中國)의 법상종은 해심밀경(解深密經)에 입각해서 일체법의 무자성(공)만을 성하는 것은 밀의성이고, 공과 유를 갖추어 설하는 것은(중도)요의설이라고 한다.”(중론 권24 관세제품 송14, 以有空義故, 一切法, 得成 ; 若無空義者, 一切法, 則不成)고 했다.
“중관론.십이문론 등은 두루 집착을 파(破)하고 파(破) 또한 파(破)해져 능파(能破)와 소파(所破)를 다시는 허용할 수 없게 된 것이니 이것은 ‘가고 두루하지 못하는’(왕이불편(往而不遍)) 논이다. 일체법의 자성이 부정(공(空))된다면 일체법은 환상과 같은 가유(假有), 가명(假名)에 불과하다.”(길장, 이체의 권중)
이러한 논리가 과연 타당성을 지니는지 그것이 문제이다.
중국(中國) 삼론종의 길장도 “속(俗)은 불속(不俗)의 뜻이요, 진(眞)은 부진(不眞)의 뜻이다. 그런 가유가 어떻게 다시 긍정(유(有))될 수 있는가? 원효는 이러한 중관의 결점을 지적하였다. 일체법은 첫째 변계소집(遍計所執,가명), 둘째 의타기(依他起,연기), 셋째 원성실(圓成實,진여)의 3종 자성(自性)이 있고, 그 중 변계소집은 체상이 전혀 없으므로 상무자성(相無自性)이고, 의타기(依他起)는 자연생이 아니므로 생무자성성(生無自性性), 원성실성은 자성의 부정을 통해 나타난 승의…(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교양]원효의%20중관,유식비판과%20대승기신론소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B%90%ED%9A%A8%EC%9D%98%20%EC%A4%91%EA%B4%80,%EC%9C%A0%EC%8B%9D%EB%B9%84%ED%8C%90%EA%B3%BC%20%EB%8C%80%EC%8A%B9%EA%B8%B0%EC%8B%A0%EB%A1%A0%EC%86%8C_hwp_01.gif)
![[교양]원효의%20중관,유식비판과%20대승기신론소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B%90%ED%9A%A8%EC%9D%98%20%EC%A4%91%EA%B4%80,%EC%9C%A0%EC%8B%9D%EB%B9%84%ED%8C%90%EA%B3%BC%20%EB%8C%80%EC%8A%B9%EA%B8%B0%EC%8B%A0%EB%A1%A0%EC%86%8C_hwp_02.gif)
![[교양]원효의%20중관,유식비판과%20대승기신론소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B%90%ED%9A%A8%EC%9D%98%20%EC%A4%91%EA%B4%80,%EC%9C%A0%EC%8B%9D%EB%B9%84%ED%8C%90%EA%B3%BC%20%EB%8C%80%EC%8A%B9%EA%B8%B0%EC%8B%A0%EB%A1%A0%EC%86%8C_hwp_03.gif)
![[교양]원효의%20중관,유식비판과%20대승기신론소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B%90%ED%9A%A8%EC%9D%98%20%EC%A4%91%EA%B4%80,%EC%9C%A0%EC%8B%9D%EB%B9%84%ED%8C%90%EA%B3%BC%20%EB%8C%80%EC%8A%B9%EA%B8%B0%EC%8B%A0%EB%A1%A0%EC%86%8C_hwp_04.gif)
교양,원효,중관,유식비판과,대승기신론소,인문사회,레포트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다. 인도 중관학파의 시조 용수(150~250)는 “공의가 있기 때문에 일체법이 이루어지고 공의가 없다면 일체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진속(眞俗)이 진속 아님을 깨치면 이것이 곧 무애(無碍)의 도이니, 무애의 도를 깨친 까닭에 무애의 용(用)이 있고, 무애의 용을 얻음으로써 일체법이 속(俗)이라는 뜻이 된다된다.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인문사회레포트 , 교양 원효 중관 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Download : [교양]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hwp( 70 )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1. 중관과 원효의 비판
인도의 중관학파와 이를 계승한 중국(中國)의 삼론종이 반야경에 입각해 일체법의 自性을 부정하는 철저한 空觀철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공관은 궁극적으로 일체법의 유(속)에 이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