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9:49
본문
Download :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hwp
다.사회기반시스템리포트 ,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생활전문레포트 ,
설명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에 상대하여 쓴 글입니다.
-이미 새만금호에 influence(영향)을 미칠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최하류지점에서의 수질을 시화호의 수질과 비교해보면 만경강의 수질은 `96년 평균(average) COD가 17.6ppm으로 동기대비 시화호의 수질보다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화호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기 전인 `93년과 비교하면 4.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7년 국정감사 data(자료))
특히 만경강과 동진강의 경우 축산폐수량이 많아 호수의 부영양화의 원인(原因)이 되는 총인과 총질소의 양이 만경강의 경우 T-N은 기준치 12.9배, …(省略)
Download :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hwp( 58 )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레포트/생활전문
새만금 간척사업의 장단점 및 대안
순서
사회기반시스템리포트
,생활전문,레포트






구체적으로 기대효능를 열거해본다면..
- 새로운 토지 28,300ha와 수자원 확보, 육운改善, 관광, 해안저지대 배후농지의 상습적인 침수피해 해소 등의 다양한 효능 !!
(1) 집단화,규모화된 우량농지 조성
방조제 안쪽에 여의도의 94배에 달하는 새로운 땅 28,300ha(8천5백만평)가 만들어져 지역발전과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게 활용됨
(2) 수자원확보
400ha 급수규모의 중규모 저수지 200개분에 상당하는 5억3500㎥ 저수 규모의 수자원을 확보하게 됨. 우리나라의 1인당 수자원(강수량)은 세계평균(average)의 1/11에 불과하여 21 세기(世紀) 에 대비한 수자원 확보가 시급한 실정임
(3) 상습침수피해 해소
방조제가 설치되면 바닷물 유입이 차단되어 홍수 때마다 바닷물(밀물)과 겹쳐 발생되는 기존 만경강과 동진강 주변의 저지대 농경지 12천ha(3천6백만평)에 대한 침수문제가 해소됨. 배수改善사업비 약 4천6백억원을 절감하는 효능를 보게 됨.
(4) 교통environment(환경) 改善 및 관광효능
방조제를 통해 교통거리 단축등 육상교통 environment(환경) 이 改善되고 인근 바다와 변산 국립공원이 어우러진 종합생태관광권이 형성되어 교통?관광 및 새로운 environment(환경) 조성 효능가 생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게 됨. 방조제공사가 진행중인 현재까지 새만금현장을 찾은 방문객과 관광객이 이미 500만명을 넘었다고 함.
3. 새만금 간척사업의 단점
(1) 새만금 담수호 오염문제는 현재의 정부계획으로 해결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