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theory(이론)기초-final exams(기말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7:55
본문
Download : 미학이론기초-기말고사.hwp





칸트의 3비판서 중 가장 마지막으로 쓰여진 『판단력비판』(제3비판서)은 제1비판서(『순수이성비판』)와 제2비판서(『실천이성비판』)의 최종 근거...
칸트의 3비판서 중 가장 마지막으로 쓰여진 『판단력비판』(제3비판서)은 제1비판서(『순수이성비판』)와 제2비판서(『실천이성비판』)의 최종 근거... , 미학이론기초-기말고사기타레포트 ,
설명
Download : 미학이론기초-기말고사.hwp( 23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순서
미학theory(이론)기초-final exams(기말고사)
칸트의 3비판서 중 가장 마지막으로 쓰여진 『판단력비판』(제3비판서)은 제1비판서(『순수이성비판』)와 제2비판서(『실천이성비판』)의 최종 근거를 제시한다고 알려져 있따 그런데 제3비판서의 출발점은 ‘미(美)’에 대한 내용으로 되어 있어서, 우리는 왜 제3비판서의 headline(제목)이 ‘판단력비판’인지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에 따르면, 반성적 판단력은 가능한 관념을 찾기 위해서 주어진 표상에 의해 그것(주어진 표상)을 어떤 원리에 따라 반성하는 능력이고, 규정적 판단력은 주어진 표상 근저에 있는 관념을 경험적 표상에 의해서 규정하는 능력이다(텍스트, 서론(1) 17 참조).
’을 중심으로 “인간 심의의 모든 능력 이것의 세부 내용은 이미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에서 언급한 것으로 본다. 그는 이러한 판단력을 반성적 판단력과 규정적 판단력으로 구분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의 하단과 본 내용의 전개를 살펴보면 된다
”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게다가 능력들 간의 관계에 ‘구상력’이 있음으로써 이것이 존재하지 않고는 제1비판서와 제2비판서의 최종 근거를 제시 할 수 없다는…(skip)
다. 하지만 내용의 전개를 면밀히 고찰해보면, 칸트가 ‘판단력 칸트에게 있어, “판단력 일반은 특수를 보편 아래에 포함된 것으로서 사유하는 능력(서론(1) XXVI)”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