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새만금 담수호 기능과 수질오염방지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22:54
본문
Download : (환경)새만금 담수호 기능과 수질오염방지 대책.hwp
오리류외에 중요한 겨울 철새인 저어새류,황새류, 두루미류도 담수호의 가장자리와 주변 논에서 많이 목견되는데 간척지는 규모가 커서 민가에서 멀리 떨어졌기 때문일것이다 겨울철 남하하는 철새로서의 황새 외에 조사된 황새는 안좌도, 부사지구, 서산간척지 등 3곳이었는데 이들 모두가 신간척지이다.
,자연과학,레포트
새만금대책11 , (환경)새만금 담수호 기능과 수질오염방지 대책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환경)새만금 담수호 기능과 수질오염방지 대책.hwp( 89 )
새만금대책11
(environment)새만금 담수호 기능과 수질오염방지 대책
순서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1.gif)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2.gif)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3.gif)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4.gif)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5.gif)
%EC%83%88%EB%A7%8C%EA%B8%88%20%EB%8B%B4%EC%88%98%ED%98%B8%20%EA%B8%B0%EB%8A%A5%EA%B3%BC%20%EC%88%98%EC%A7%88%EC%98%A4%EC%97%BC%EB%B0%A9%EC%A7%80%20%EB%8C%80%EC%B1%85_hwp_06.gif)
설명
1) 담수호의 생태적 가치
2) environment(환경) 문제의 제기
3) 새만금호 유역의 수질 상태
4) 새만금 담수호의 예상 수질 평가
5) 새만금 유역의 오염방지를 위한 대책
1) 담수호의 생태적 가치
간척으로 갯벌에 도래하던 섭금류가 줄어드는 것은 간척을 위하여는 불가피한 effect(영향) 이나 담수호와 주변 농경지에서 월동하는 오리 기러기류에게 간척사업은 오히려 서식 영역을 키워주는 일이다. 다음은 간월호가 54종으로 많았으며 10위까지에 부남, 아산, 대호가 포함되어 간척담수호가 4개소가 10위내에 포함되어 담수호는 종의 다양성도 높았다.
’99년 2월 전국 동시센서스 결과 담수호의 주변 간석지에 도래하여 월동하는 오리, 기러기류를 개체수가 많은 순서 10개소중 1위부터 7까지가 모두 간척 담수호이며, 591,669개체가 도래하여 전체 개체수의 55%이고 나머지 담수호까지 고려하면, 우리나라 겨울철새의 61%가 담수호에 도래한다 (저수지 포함 70%).
종수가 많은 순서는 남제주의 애월 강정해안이 60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행주에서 팔당까지의 55종, 간월호의 54종 순서였는데 이들 2지구는 조사지역이 산과 들을 포함한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물새, 산새가 모두 조사된 반면 담수호는 주로 물새만 조사되었다.
점수 = (종수 ☓ 개체수) 1000
종수와 개체수를 모두 고려한 가장 많은 조류가 도래하는 곳은 고천암호, 간월호, 시화호의 순이었으며 10위내에 철…(skip)
레포트/자연과학
다. 간척을 안했으면 이들 담수호와 논에 서식하는 조류는 크게 감소하였을 것이다. 해남과, 영암호는 가창오리를 비롯한 겨울철 오리류의 최대 월동지이며, 서산 A, B ,지구는 낙동강 하구나 주남저수지보다 더 다양한 겨울 철새가 도래하고, 금강하구둑은 고니류의 최대 월동지가 되었으며 다른 담수호도 모두 겨울철새의 도래지가 되고 있어 겨울철새 도래지의 거의 대부분이 담수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