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일본의 문화와 예술 report] 영화 `박치기` 감상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2 04:57
본문
Download : 박치기 감상문.hwp
. 경자에게 호감을 가지고 ‘임진강’을 배워 같이 부르는 코우스케는 재일을 이해하고 포용하려는 日本 인의 전형으로, 영화는 이러한 日本 인이 전형적인 日本 인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68년을 기점을 세계적으로 저항운동이 집중된 이유는 동서세계의 냉전으로 인한 획일적 사회 분위기에 대한 반대가, 미국의 베트남 침략이나 소련의 스탈린주의에 의해 촉발되었기 때문이며 동시에 전후의 경제번영과 자유를 누리며 대학에 진학한 젊은이들이 시대에 뒤떨어진 대학의 교육체제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특히 프랑스의 68혁명(68년 5월 혁명)의 특징은 일상생활에서의 文化(culture) 적 저항과 정치적 저항이 융해되어 표출되었다는 데에 있다.
목차:
일본의 문화와 예술 시간에 쓴 영화 박치기 감상레포트입니다-
[의학/일본의 문화와 예술 report] 영화 `박치기` 감상문(report)
일본의 문화와 예술 시간에 쓴 영화 박치기 감상report입니다-

박치기, 일문예, 1968년, 재일교포
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관계는 모든 日本 인에 적용되는 것은 아닐것이다. `혁명을 생각할때면 섹스하고 싶은 생각이 든다`라는 슬로건에서는 혁명가들이 그들의 행동을 통해서 무엇을 성취하고 싶어하는가가 아니라 혁명가들이 무엇을 하고 그 일을 할 때 어떻게 느끼는 가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좁게 보면, 단순히 질풍노도의 방황기를 겪는 10대 靑少年(청소년) 들의 패거리싸움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영화 전반에 흐르고 있는 것은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재일교포 VS 日本 인’의 갈등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1. 등장인물들을 정리(arrangement)하고 (갈등)관계를 분석하시오.
설명
2. 영화의 시대배경인 `1968`년은 어떠한 시대로 묘사되고 있는가?
Download : 박치기 감상문.hwp( 75 )
본문:
1968년은 日本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변화와 혁명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1. 등장인물들을 정리(arrangement)하고 (갈등)관계를 분석하시오.
2. 영화의 시대배경인 `1968`년은 어떠한 시대로 묘사되고 있는가?
3. 영화의 タイトル은 왜 `임진강`이 아니고 `박치기`인가?
레포트 > 기타
순서
이 영화는 작게는 ‘조선인학교 학생 VS 日本 인학교 학생’의 단순한 갈등으로 보일 수 도 있지만. 이는 결국, ‘재일교포 VS 日本 인’의 갈등으로 대표된다 일제시대 때, 징용으로 끌려가서 日本 제국을 위해 피땀 흘려 일했지만, 그들은 日本 인에게 ‘외인(外人)’취급 받으며, 日本 국적도, 조선 국적도 얻지 못한 채, 日本 내에서뿐만 아니라, 북한, 남한 모두에게 외면당하며 정체성을 상실하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