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 定義(정의), 效果(효과) 및 改善(개선)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5 23:55본문
Download :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hwp
4. 건설사업관리의 중요 업무
4) 업무의 범위
3) 계경제성 검토 등으로 비용절감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 定義(정의), 效果(효과) 및 改善(개선) 방안
3) 품질관리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
1) 사업수행방식의 전文化(culture)
1. 건설사업관리(CM)이란? CM이란 한마디로 발주자(Owner), 설계자(Architect Engineer : A/E)와 관리전문가인 CM매니저(Construction Manager : CMR)가 삼자일체(三者一體)가 되어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부터 최종단계에 이르기까지 발주자의 입장에서 프로젝트 전반의 운영관리를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CM(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관리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포괄적인 정의로서, 남충희(1997)는 건설사업관리를 크게 ‘학문’, ‘요소기술’, 그리고 ‘계약(발주)방식’으로서 세 가지로 대별하고 있다. 첫째, 건설사업 생애주기인 계획, 설계, 시공 등의 단계를 통합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CM서비스의 실시 주체인 CM매니저의 업무내용은 발주자와 설계자와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소기의 스케줄, 코스트, 품질을 완성시키기 위한 전문직으로서의 기술을 제공하는 매니지먼트 또는 엔지니어링 서비스이다. 둘째, 발주자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역할을 맡는다는 점이다. 즉, 건설의 일반론적 용어로서의 CM과 계약형태로서의 CM을 구분한 것이다(이용일, 1997).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에서는 전문적인 건설사업관리(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ment)를 “발주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공사의 기획, 설계, 그리고 시공단계를 하나의 통합된 업무로서 처리”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DeGoff and Friedman(1985), p. 3]. 그리고 일반건설협회(AGC), CM협회(CMAA), 그리고 프로젝트관리기술협회(PMI)도 내용은 유사하나 다소 다른 정의를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설산업기본법 『제 2조 定義(정의)』의 제 6호에 의하면 “건설사업관리라 함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타당성 조사․analysis(분석) ․설계․조달․계약․시공관리․감리․평가․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CM은 견적, 계약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등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반 기술, 방법, 절차, 그리고 관리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미국 각 기관의 CM 정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사업자 선정방식
2. 건설사업관리제도(CM)의 도입 배경
CM(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관리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定義(정의)될 수 있다 포괄적인 定義(정의)로서, 남충희(1997)는 건설사업관리를 크게 ‘학문’, ‘요소기술’, 그리고 ‘계약(발주)방식’으로서 세 가지로 대별하고 있다 즉, 건설의 일반론적 용어로서의 CM과 계약형태로서의 CM을 구분한 것이다(이용일, 1997).
둘째, 발주자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역할을 맡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CM서비스의 실시 주체인 CM매니저의 업무내용은 발주자와 설계자와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소기의 스케줄, 코스트, 품질을 완성시키기 위한 전문직으로서의 기술을 제공하는 매니지먼트 또는 엔지니어링 서비스이다. 국내의 경우, 건설산업기본법 『제 2조 정의』의 제 6호에 의하면 “건설사업관리라 함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타당성 조사․분석․설계․조달․계약․시공관리․감리․평가․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라고 정의 되어있으며, 여기에서도 역시 CM을 정의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사업주를 위한 활동”과 “사업의 효율성 향상”이다(이복남 등, 2002, ; 이복남 등, 2005).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에서는 전문적인 건설사업관리(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ment)를 “발주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가장 效果(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공사의 기획, 설계, 그리고 시공단계를 하나의 통합된 업무로서 처리”하는 것이라 定義(정의)하고 있다[DeGoff and Friedman(1985), p. 3]. 그리고 일반건설협회(AGC), CM협회(CMAA), 그리고 프로젝트관리기술협회(PMI)도 내용은 유사하나 다소 다른 定義(정의)를 하고 있다 미국 각 기관의 CM 定義(정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7. 건설사업관리 운영상의 처리해야할문제 및 개선대책
2) 건설사업의 발주의 시점
1. 건설사업관리(CM)이란?
참고資料
2) CMr의 업종에 따른 분류
3. 건설사업관리의 분류
1) CMr의 역할 및 책임한계에 따른 분류
6. 건설사업관리의 도입효과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8322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5D%20%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CM)%EC%9D%98-8322_01_.jpg)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8322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5D%20%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CM)%EC%9D%98-8322_02_.jpg)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8322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5D%20%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CM)%EC%9D%98-8322_03_.jpg)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8322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5D%20%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CM)%EC%9D%98-8322_04_.jpg)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8322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08/%5B%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5D%20%EA%B1%B4%EC%84%A4%EC%82%AC%EC%97%85%EA%B4%80%EB%A6%AC(CM)%EC%9D%98-8322_05_.jpg)
5. 건설사업관리 방식시행 및 운영
4) 사업관리일반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
2) 사업비용의 절감효과
Download : [건설사업관리] 건설사업관리(CM)의.hwp( 36 )
3) 공급자 및 CM서비스제공자 측면
순서
2) 사업비관리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
CM이란 한마디로 발주자(Owner), 설계자(Architect Engineer : A/E)와 관리전문가인 CM매니저(Construction Manager : CMR)가 삼자일체(三者一體)가 되어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부터 최종단계에 이르기까지 발주자의 입장에서 프로젝트 전반의 운영관리를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1) 제도 및 정책적 측면
2) 수요자 및 발주자 측면
설명
1) 공정관리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
5) 책임과 대가
1) 입찰 및 계약방식
4) 사업기간의 단축효과
1. 건설사업관리(CM)이란?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건설사업관리,CM,건설사업관리 정의,건설사업관리 분류, 건설사업관리 개선방안
다.” 라고 定義(정의) 되어있으며, 여기에서도 역시 CM을 定義(정의)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사업주를 위한 활동”과 “사업의 효율성 향상”이다(이복남 등, 2002, ; 이복남 등, 2005).
CM은 견적, 계약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등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반 기술, 방법, 절차, 그리고 관리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첫째, 건설사업 생애주기인 계획, 설계, 시공 등의 단계를 통합하여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