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싸와 理論(이론)적 배경, 융의 分析(분석)심리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11:24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사와 이론적 배경, 융의 분석심리학.hwp
◆융 : 무의식은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고 믿었고, 환자의 그림을 통하여 집단무의식의 내용을 이해하고, 창작행위를…(drop)
다. 그러나 유럽의 경우 이미 19세기말 정신병을 앓고 있는 성인의 미술에 상대하여 관심을 점점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 정신의학자( 따르디유`1872`, 시몽`1876`, 롬브로조`1890` )들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그린 미술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정신의학자들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그린 미술이 이 환자들의 병과 관련이 있는 여부를 알기 위해서 환자들이 그린 미술작품을 연구 하였다. 이에 따라 미술가들은 실제로 미술치료가 등장하는데 관여하였다.
프린츠 호온(1922) : 3년 동안 정신병원 환자들의 그림 소묘 콜라쥬 조소 5,000여점을 수집하여 analysis(분석) 한 `정신병자들의 그림` 출간
; 그림의 심리적 토대 연구, 아동과 원시인 그림비교 → 병원마다 미술실을 두어 환자들의 미술활동을 지도
◆프로이드 :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의 작품을 연구하여 유아기적 effect을 analysis(분석) , 프로이드는 심리적 내용이 꿈이나 상징 등 시각적 이미지로 표출된다고 보았으나, 그림을 일차적 매체로 사용하지는 않았다.
이와 동시 미술교육자들은 아동이 자유롭고 ...
목 차
Ⅰ. 미술치료의 history
Ⅱ. 미술치료의 theory 적 배경
Ⅲ. 융의 analysis(분석) 심리학
Ⅰ. 미술치료의 history
미술치료가 발달한 history를 정착기 이전과 정착기 이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① 정착기 이전
급속한 environment變化에 따른 適應의 어려움, 개인의 수단화로 소외 발생으로 인간정신병리가 급증하였다.
미술치료가 독특한 분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1930~1940년대에 들어서이다.사회과학,미술과,테라피,미술치료,역사와,이론적,배경,융,심리학,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사와 이론적 배경, 융의 분석심리학.hwp( 30 )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사와 이론적 배경, 융의 분석심리학 ,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사와 이론적 배경, 융의 분석심리학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미술치료 역사와 이론적 배경 융 심리학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싸와 理論(이론)적 배경, 융의 分析(분석)심리학
설명
[사회과학] 미술과 테라피 - 미술치료의 역싸와 理論(이론)적 배경, 융의 分析(분석)심리학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1.gif)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2.gif)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3.gif)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4.gif)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5.gif)
![[사회과학]%20미술과%20테라피%20-%20미술치료의%20역사와%20이론적%20배경,%20융의%20분석심리학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8%EC%88%A0%EA%B3%BC%20%ED%85%8C%EB%9D%BC%ED%94%BC%20-%20%EB%AF%B8%EC%88%A0%EC%B9%98%EB%A3%8C%EC%9D%98%20%EC%97%AD%EC%82%AC%EC%99%80%20%EC%9D%B4%EB%A1%A0%EC%A0%81%20%EB%B0%B0%EA%B2%BD,%20%EC%9C%B5%EC%9D%98%20%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목 차
Ⅰ. 미술치료의 history
Ⅱ. 미술치료의 theory 적 배경
Ⅲ. 융의 analysis(분석) 심리학
Ⅰ. 미술치료의 history
미술치료가 발달한 history를 정착기 이전과 정착기 이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① 정착기 이전
급속한 environment變化에 따른 適應의 어려움, 개인의 수단화로 소외 발생으로 인간정신병리가 급증하였다.
미술치료가 독특한 분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1930~1940년대에 들어서이다.
이와 동시 미술교육자들은 아동이 자유롭고 순수하게 그린 미술표현이 정서적 의사소통과 상징적 의사소통을 보여준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미술치료는 미술가가 정신병원에서 환자들을 도와준 데에서부터 처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미술가는 환자들을 위한 미술 교실을 열었고 이는 치료의 경험이 되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 정신의학자( 따르디유`1872`, 시몽`1876`, 롬브로조`1890` )들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그린 미술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정신의학자들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그린 미술이 이 환자들의 병과 관련이 있는 여부를 알기 위해서 환자들이 그린 미술작품을 연구 하였다. 그러나 유럽의 경우 이미 19세기말 정신병을 앓고 있는 성인의 미술에 상대하여 관심을 점점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