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23:46본문
Download :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hwp
또한 [ATR]대립이 뭐지고, 구장대립으로 가능, 전환되었으므로 · 는 17세기에 이르러 ‘ㅏ’ 로의 합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 음은 전설고모음의 ‘l`의 [ATR]대립이 중화되고 이보다 후설에 위치한 ’ㅡ‘ 모음에 ’ · ‘가 합류되면서 제 1단계 alteration(변화) 를 가져왔다(16세기). 또한 ’ · ‘는 /ʌ/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청각적인 변별성이 없었으므로 대립관계에 있던 `ㅡ’, ‘ㅏ’와 혼돈되었다.
순서
다. 이러한 ‘ · ’의 소멸은 ‘ㅏ’와 ‘ㅗ…(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5세기모음체계의변천2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에 대한 글입니다.15세기모음체계의변천2 ,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인문사회레포트 ,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에 대한 글입니다.
Download : 15세기 모음체계의 변천.hwp( 41 )
(1) 고대국어
Ident-IO(stem/back) 》Align-R 》Ident-IO(back)
(2) 중세국어
Ident-IO(stem/back) 》Align-R, Ident-IO(back)
(3) 근대국어 전기
Ident-IO(stem/high) 》Ident-IO(stem/back) 》Align-R, Ident-IO(back)
(4) 근대국어 후기 및 현대국어
Ident-IO(stem/high) 》Ident-IO(stem/back) 》Ident-IO(high) 》Align-R, Ident-IO(back)
4. 전후대립의 성립과 원순모음화
국어의 · 는 독특한 음성적, 음향적 특징을 가지고 있따 · 는 설근 전진시에 나타나는 두 가지의 음향적 효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제 1포먼트의 하강과 성문 波動(파동) 폭의 화장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