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 마음의 내적치유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02:17본문
Download : 상한 마음의 내적치유에 관한 연구.hwp
그러나 인간의 육체는 질료(물질, matter)를 취하게 되는데, 이 질료는 우주의 실체 중에서 저급한 질서에 속한 것이다.
교회 사역 안에서 적게나마 경험해던 개개인들의 내적인 문제들을 직시하고 그것에 대하여 함께 아파하며 결코 예외가 될 수 없는 나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면서 이글을 통해서 우리 속의 상한 마음과 그것에 대한 성경적인 하나님의 치유방법들을 모색하고 또한 편협하나마 목회현장에서의 적용점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막스주의지에게 있어서 인간은 단순히 자연의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견해를 갖는 사람들은 영혼의 불멸성은 가르치나 육체의 부활은 부인하게 된다
2) 물질주의적 인간관
이런 물질주의적 인간관은 오늘날 가장 팽배해 있다고 할 수 있다아 이 견해에 따르면 인간은 오직 물질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의 정신적, 감정적, 영적 삶이란 인간의 물질적 구성의 부산물들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막스주의지가 歷史를 경제적으로 결정지어지는 것으로 보는 이유는 사실상 인간본성을 물질적 자연주의적으로 바라보고 있는데서 기인한다. 따라서 육체는 정신에 관련되어는 방해물밖에 되지 않으며 이 질료가 없어야만 사람은 더 고급의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은 꿈에도 상상치 못할 일이며 창조주의 존재마저도 부인되고 있다아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책임의식이니 윤리적 지상명제이니 하는 말은 …(drop)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순서






다.
,경영경제,레포트
상한 마음의 내적치유에 관한 연구
Download : 상한 마음의 내적치유에 관한 연구.hwp( 57 )
교회 사역 안에서 적게나마 경험해던 개개인들의 내적인 문제들을 직시하고 그것에 대하여 함께 아파하며 결코 예외가 될 수 없는 나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면서 이글을 통해서 우리 속의 상한 마음과 그것에 대한 성경적인 하나님의 치유방법들을 모색하고 또한 편협하나마 목회현장에서의 적용점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1. 비기독교적 인간관
1) 관념론적 인간관
인간은 근본적으로 정신이며, 인간의 물질적 육체란 인간의 근본적 본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생소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상한 마음의 내적치유에 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Ⅰ. 서론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상한마음이란?
A. 인간관의 문제
1. 비기독교적 인간관
2. 기독교적 인간관
B. 마음의 성경원어적 의미
1. Hebrew에서의 `마음`의 용례
2. Greek에서의 `마음`의 용례
C. conclusion
Ⅲ. 상한마음의 原因
1. 생존, 안전감, 만져줌
2. 피부접촉(skin contact)
3. 돌봄(attention)
4. 반영과 흉내냄 (mirroring&echoing)
5. 인도(guidance)
6. 경청(listening), 진실함(being Real), 참여(participating), 용납(acceptance)
7. 상실된 것을 애통하고 근심하며 성장할 기회(opportunity to grieve losses & to grow)
8. 지지(support)
9. 성실과 신뢰
10. 성취-지배, 능력, 통제, 창의성,성취감, 헌신
11. 기분전환, 일상에서 벗어나는 경험
12. 성적 만족감(sexuality)
13. 무조건적인 사랑(UNCONDITIONAL LOVE) - 신앙적인 사랑을 포함
B. 인간관계에서 오는 상한 마음
1. 관계란 무엇인가?
2. 관계의 의미
3. 상처를 받게되는 관계
C. 기타 상처를 받게되는 environment(환경) 들
D. 관계가 깨어질 때 오는 정서적인 상태들
Ⅳ. 상한 마음의 reaction 과 증상
1. 정서적인 면
1) 슬픔
2) 자기연민
3) 자기 증오
4) 의기소침
5) 무관심
2. 지적인 면
1) 열등의식
2) 불안정
B. 적극적 reaction 으로 나타나는 반항
1. 정서적인 면
2. 지적인 면
Ⅴ. 상한 마음의 내적치유
A. 내적 치유의 槪念과 성경적 근거
B. 내적 치유에 있어서의 필요한 과정
1. 문제(상한 마음의 상태)에 대한 인지
2. 상한 마음을 드러내기
3. 용서를 통한 치유
4.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깨달음
5. 치유이후의 삶
C. 내적 치유의 목회적 적용
D. 내적 치유의 한계
Ⅵ. 결 론
인간의 내적인 문제를 상한 마음(broken heart)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 우리는 이것이 인간의 어떤 부분을 말하고 있는지를 우선 살펴볼 필요가 있다아 내적 치유가 상담의 한 분야라고 볼 때 상담理論은 언제나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 槪念들로부터 출발하도록 되어 있다아 그래서 인간 본성에 대한 우리의 견해는 우리의 상담법 및 상담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에 아주 중요한 effect(영향) 을 미친다. 이러한 유의 사고는 고대희랍 철학에서 그 由來를 찾아볼 수 있다아 예를 들어 플라톤에 의하면 사람에게 있어서 참으로 존재하는 것은 사람의 지성(이성)일 뿐이며 이 지성(이성)은 인간 안에 있는 신성의 불꽃이며 육체가 죽은 후에도 계속 존재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