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묘제도의 개선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15:49본문
Download : 장묘제도의 개선방안.hwp
여러 생물종 틈에 끼여 수렵으로 살아가던 이 시절에 인류의 존재는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있었다. 묘지면적은 9만 6천여ha(약 2억 9천만평)로 국토면적의 1%, 서울 여의도 면적 8백 ha의 1백 20배이다. 다른 생물종들의 생존조건을 압박해 들어간 끝에 이제 인류자신의 생존조건이 압박을 느끼기 처음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전국토의 67%가 산으로 되어 있다고 하나, 매장제도에 따른 현재의 묘지문제 또한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매장에 부수된 과시풍조에 따른 묘지면적 증가속도의 심각성에 있어서 이제 대비책을 서둘러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레포트/공학기술
장묘제도의 개선방안
장묘제도의개선방안
Download : 장묘제도의 개선방안.hwp( 82 )
순서
화장,납골묘에 대한 평가와 녹색매장의 제안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생활공간을 넓히고 먹이획득을 쉽게 만드는 등 인류가 자신의 증식에 유리한 기술을 발전시켜 온 결과다. 그러나 언어와 문자의 발명으로 농업문명이 열리면서 인구는 기하급수적 팽창을 처음 해 1만년도 안되는 시간에 1천배 이상 늘었다. 또 해마다 20여 만기의 분묘가 새로 생겨 여의도의 1.2배만한 국토가 묘지로 탈바꿈한…(생략(省略))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중앙일보 ‘99년 4월 5일자 5면, 기획취재 “유족 두 번 울리는 공원묘지”, 국내공원묘지(집단묘지)·종중(宗中)묘지·가족묘지·개인묘지 등에 자리잡은 분묘수는 모두 1천 9백 98만기 이필도박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책임연구원)의 ‘99년 4월 4일자 MBC일요특강 “장묘문화의 개혁과 실천方案”에 따르면, 전국의 묘지는 2,300만기로 추정되며 이 중 약40%가 무연고 묘지로 방치되고 있다고 함. 로 우리 인구 4천 6백 53만명의 43%에 이른다.장묘제도의개선방안 , 장묘제도의 개선방안공학기술레포트 ,
화장,납골묘에 대한 평가와 녹색매장의 제안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1. 문제의 제기 5) 화장 및 납골당의 고비용, 비생태성
2. 현행의 장묘제도 4. 장묘제도의 해결方案
1) 매장의 관습 1) 개인산지의 묘지분양, 공원묘지 장려
2) 화장의 경우 2) 묘지용 산지 지형변경의 규제
3) 비현실적 법령 3) 묘지면적과 석물장식의 엄격한 규제
3. 장묘제도의 drawback(걸점) 4) 한계농지에의 묘지허용
1) 국토관리의 비효율 5) 묘지봉분의 궁극적 제한
2) 장묘비용의 증가 6) 묘지관련 법규의 통폐합
3) 호화분묘의 조성 5. 발상의 전환
4) 엄격한 허가제도 ‘화장·납골’보다 ‘녹색매장’이 낫다
1. 문제의 제기
인류가 농업을 처음 하기 전, 지구상의 인구는 1백만명에서 5백만명 사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농업문명시대의 생물학적 진화는 유전자에 기록되는 유전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데 비하여, 인쇄술의 발명으로 산업문명의 단계에 들어 선 인류의 기술적 진화는 뇌에 기록되는 기술정보에 의존함으로써 한번 깨우친 유용한 기술은 잃어버리지 않기 때문에 폭발적 인구증가에 따라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