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2 03:09
본문
Download :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분석_2105231.hwp
기능체계들은 자가 생산적인 질서물이다. 예를 들어 예술은 정치에 의해서 대체되지 않으며, 또한 정치 역시 예술에 의해 대체되지 않는다. 즉, 미학서…(drop)
Download :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분석_2105231.hwp( 76 )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分析
,경영경제,레포트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分析
레포트/경영경제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분석학교교육과자아실현을 ,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나타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체계이론적 분석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순서






학교교육과자아실현을
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예술”의 사회적 기능은 쉴러의 미학서간에서 어떻게 고찰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능은 “아름다운 예술”의 자기 정체성 확보라는 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II. 총체성/소외의 주도변별을 통한 예술의 자기 정당화
루만의 설명(說明)에 따르면 전근대 사회로부터 현대 사회로의 전이는 사회 분화의 원칙이 위계질서에서 기능으로 바뀌어 감을 뜻한다. 즉 현대에서 사회의 분화는 사회라는 전체체계 Gesamtsystem가 정치, 경제, 교육, 종교 등의 하부체계들 Subsysteme로 분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히 해 두고 넘어가야 할 것은 미학서간의 진술 내용이 “아름다움과 예술에 상대하여 내가 고찰한 결과물들 Resultate meiner Untersuchungen über das Schöne und die Kunst” 이라는 점이다. I. 서론
II. 총체성/소외의 주도변별을 통한 예술의 자기 정당화
III. ꡒ아름다운 예술ꡓ의 정체성
IV. 結論
bibliography
현대 사회 내에서 예술의 분화는 단지 이 체계에서만 수행되고, 다른 어떤 곳에서도 수행되지 않는 특수한 기능을 매개로 해서만 가능하다[...] 즉 어떤 기능체계도 다른 체계에 의해서 대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통코드에 관한 논의는 반드시 사회 environment 내에서 체계의 특수한 기능의 물음과 관계를 맺어야 하는 것이다. 각각의 하부체계들은 사회에서 자신들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독자성을 지켜나가며 생존하는데, 쉴러의 미학서간,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하여 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에서 다루어지는 key point(핵심) 테마인 예술과 사회 environment과의 연관은 바로 예술의 특수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논증하고 있는 바이다. 이로써 현대 사회에서 예술은 하나의 기능을 지니거나 아니면 자가 재생산의 폐쇄성을, 즉 자율성을 갖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