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02:35
본문
Download :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hwp
이러한 산림황폐지역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경상북도가 함께 1973년부터 1977년까지 5년간에 걸쳐 2,241만매의 뗏장, 230만개의 돌, 313만톤의 객토, 2,410만본의 묘목식재와 연인원 330만명이 참여하는 등 총 사업비 약 38억원을 투자하여 오늘날 우리들이 향유하는 푸른 녹지대로 변모시켰으며, 영일지구 집단황폐지 복구로 우리나라가 FAO(세계식량농업기구)로부터 최단기간내 산림녹화 성공국으로 칭송받을 수 있는 계기와 세계 임학자들과 사막지대 식생복원 전문가들이 찾는 황폐지 복구 현장교육장으로 발돋움하는데 기여하였다.
설명
레포트/기타
Download :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hwp( 24 )
숲과물의세계,영일지구사방사업,기타,레포트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 ,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기타레포트 , 숲과물의세계 영일지구사방사업
순서
영일지구 사방사업
우리나라 동남부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연일읍, 청하면 외 4개면, 경주시 안강읍 외 1개 면, 포항시내 장량동 외 4동 일대에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지형에 따라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 제대로 자랄 수 없었던 사막지대에 가까운 대면적 산림황폐지가 있었다.
더욱이 이 지역은 한일국제航空(항공) 노선의 관문지역으로서 당시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외국인들에게 우리나라가 산림황폐국이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악역을 하기도 하였다.
이 지역은 제3계 연일통에 속하는 지질로서 이암 및 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화강암층이 분포하고 있다 이암과 혈암은 한번 황폐해지면 적은 강우량에도 표토의 유출이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보수력이 약한 탓으로 식생활착이 어려운 특성(特性)을 가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이 지역은 강수량이 연平均(평균) 900~1,000㎜로써 전국에서도 가장 건조한 지…(투비컨티뉴드 )
다. 그 결과 이 지역 일대는 이들 황폐한 산지로부터 흘러내린 토사가 하상을 높임으로써 근대화의 상징이었던 포항종합제철의 공업용수 동맥인 형산강과 이 지역 내외를 흐르고 있는 청하천, 곡강천, 광천 등을 범람시켜 농경지를 매몰시키는 등 수해가 빈번하였고, 비가 조금만 오지 않아도 생활용수마저 부족한 형편이었으며, 또한 약한 바람이 불어도 황사현상처럼 흙먼지가 훨훨 날아다녀 빨래도 제대로 말릴 수 없었던 열악한 자연환경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