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2:14
본문
Download :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hwp
그 작품군별의 분류는 어느 정도 통시적인 성격을 지니게 될 것이다. .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밝힐 것은, 이 글의 취지는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해학성을 파악해 보는 데 있으나 한편으로 문학에서의 해학을 논하는 데 있어 풍자를 빠트릴 수는 없기에 결국 두 가지를 함께 다루게 되었다는 점이다. 고전문학 전체를 다루면서 고전소설의 해학성과 풍자성을 묶어서 다룬 연구들 또한 많다.
대체로 판소리계 소설 및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소설들을 중심으로 分析(분석)한 것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거기에서 빠트린 다른 연구물들이나 혹은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하지 않고 부차적으로 다룬 성과들을 보더라도 비슷한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아 이는 달리 말해 한국의 고전소설들 가운데 해학과 풍자의 중심이 박지원의 단편들 및 판소리계 소설에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비단 고전소설뿐만 아니라 설화의 범주에 드는 골계전(滑稽傳) 또한 함께 다루게 될 것인데, 그 이유에 관련되어도 마찬가지로 나중에 다시 언급하겠다. 어째서 해학을 논할 때 풍자를 빠트릴 수 없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說明(설명) 은 해학과 풍자의 concept(개념) 및 차이를 다루면서 다시 언급하기로 하겠다.
, 장덕순 장덕순, 「한국의 해학」(『동양학』 4집,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4)
. 이상근은 해학의 concept(개념)을 종래의 골계의 하위 항목으로 보던 시각을 넘어서서 그 이상의 것으로 새롭게 정의(定義)하면서 그 형성의 조건과 기능 등에 대한 세부적인 고찰을 하였다 이상근, 『해학 형성의 理論』(경인文化(culture) 사, 2002)
Ⅱ. 본 론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 김지원은 한국문학 속에서의 해학과 풍자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시도를 위해 해학과 풍자의 concept(개념)을 다시 한 번 요점하였다 김지원, 『해학과 풍자의 문학』(문장, 1983)
같은 것이 그 예이다.
고전소설의 해학과 풍자에 대한 연구로는 일일이 언급하기 어려울 만큼 많은데, 비단 해학과 풍자만이 아니라 소설 전체의 다른 면모들을 分析(분석)하면서 해학성과 풍자성을 함께 다룬 것이 태반이다. 다만 이동근과 황형식이 요점한 연구사를 보면 이동근․황형식, 『한국문학의 풍자와 해학』(대구대학교 출판부, 2004), pp. 6~7.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등이 주축이 된 연구에서 이미 골계의 하위 항목으로서의 그 분류와 본질에 관한 파악이 일정한 수준까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겠으며, 이는 후대의 연구자들에 의해 더욱 확대되고 다듬어지면서 하나의 일반론으로서 자리를 굳히기에 이르렀다. 조동일은 숭고․우아․비장․골계의 4분법으로 미학적 범주를 분류하면서 그와 연계하여 골계의 하위 범주인 해학과 풍자를 규명하려 한 바 있고 조동일, 「미적범주」, (『한국사상대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76)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에 드러나는 해학과 풍자의 면면들을 살펴보면서 전체적인 조망을 해 보려고 한다.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Download :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hwp( 75 )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고전소설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순서
1. 해학과
과 김사엽 김사엽, 「웃음과 해학의 본질」(『어문학』 2집, 한국어문학회, 1968)
풍자와 해학에 대한 개론적인 논의는 이어령 이어령, 「해학의 미적 범주」(사상계, 1958)
.
. 그 외로 해학과 풍자에 대한 concept(개념)과 범주를 중심으로 다루는 논의를 넘어서는 연구도 등장하고 있는데, 실제 문학 작품에서 해학성을 찾아낼 때에는 어떤 방법론을 사용해야 하는가의 연구 김태자, 「담화 分析(분석)에 의한 해학의 의미 해석」(『한글』 238호, 한글학회, 1997)
다. 그를 위해 먼저 해학과 풍자의 concept(개념) 및 상호간의 차이를 간략하게 요점해 본 다음, 고전소설에서 나타나는 해학과 풍자를 작품군별로 묶어 보겠다. 그리고 그러한 分析(분석)들에서 나타나는 해학과 풍자의 concept(개념) 정의(定義)도 앞에서 요점한 연구들과 크게 어긋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연구물들을 언급하고 그 내용을 요점하는 것은 省略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