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21 20:10
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hwp
순서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
다. 세종의 명에 따라 1445년(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47년(세종 29) 5월에 간행되었으며, 훈민정음을 사용하여 정인지 ․ 안지 ․ 권제 등이 짓고, 성삼문 ․ 박팽년 ․ 이개 등이 주석(註釋)하였으며, 정인지가 서문(序文)을 쓰고 최항이 발문(跋文)을 썼다.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용비어천가가>는 역성혁명(易姓革命) 또는 새 왕조 창업의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한 3단 구조의 논리적 짜임을 보인다. 125장으로 이루어진 용비어천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책의 수는 모두 10권 5책인데, 그 가사 제1장․제2장은 서론적인 노래이고, 제3장부터 제109장까지는 건국의 수고로움과 李氏가 대대로 덕을 쌓아, 하늘 명령과 인심이 이에 모였다는 사실을 china(중국) 과 고려조의 옛 history(역사) 를 끌어다가 되풀이하여 거듭 읊은 것이요, 제110장부터 제125장까지는 뒷 임금들을 훈계하는 노래로 되어 있다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Download :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hwp( 82 )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설명
1. <용비어천가>의 전체 짜임
이렇게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이다.
Ⅱ. 본론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용비어천가의 구조 - 구조 전체 짜임 예시 구조와 율격 장르와 성격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왕조의 개국을 찬양하기 위해 지어진 악장(樂章)문학이다.
.





용비어천가의 본문 내용은 태조의 고조 목조가 터전을 닦음으로부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 등 6대 조종의 용잠(龍潛)때의 공덕을 노래하고, 화가위국(化家爲國)의 극난함을 들어 뒤의 임금들의 거울을 삼게 하는 동시에 고려의 실덕과 조선의 성덕을 말하며, 고려를 쓰러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것은 천명으로 혁명함이요 신하로서 반역함이 아니라 하는 것을 훈민정음으로 읊은 125장(章)의 한글 가사와 한시로 대역한 역시를 원문으로 하여 각장마다 주해를 덧붙여서 만든 것이다. <용비어천가>는 모두 10권 5책 125장이라는 방대한 양, 선초(鮮初) 송도시(頌禱詩)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풍부한 내용을 가진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고(最古)의 문헌으로서 15세기의 언어와 문학 연구에 중요한 사료(史料)가 되고 있기에 일찍이 국어국문학계의 큰 관심거리가 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