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26 00:30
본문
Download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hwp
-고대의 사상의 경향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것은 문집이나 사료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음. 그러나 이러한 data(資料)의 신빙성에 대한 의심을 제기할 수 있음. 그러므로 이에 대해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
<사료를 다루는 태도 3가지>
信古(신고)- 고대의 경전을 아무런 의심 없이 받아들이며, 실제 있었던 사건으로 받아들이
는 태도. 전통적인 학자들이 취하는 태도
疑古(의고)- 신고와 반대. 역사(歷史)서의 대부분을 의심하고 믿을 수 없다고 간주하는 태도. 역사(歷史)
적으로 많이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동양2rkd
**시험에 나왔던 己出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主觀式// 네모: 객식).**
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순서
Download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hwp( 92 )
레포트/인문사회
이 reference(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신학시대-신화와 미신에 근거하는 시대. 모든 사상과 법률에 신화에 근거하며 주관적인 부
분에 의하여 형성된 주술과 미신에 권위가 부여되었음
형이상학 시대-기독교 신학의 권위에 의지하던 중세시대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음. 우주의
처음 은 무엇인가? 최초의 동력은 무엇…(省略)
己出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






설명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이 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동양2rkd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인문사회레포트 ,
다.
없음
<<<빈공간 부분은 강의안이 캡쳐되어있는 부분입니다.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
,인문사회,레포트
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reference(자료)입니다.
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과거 사료를 숭배하는 동양에서 있을 수
없는 태도였다. 따라서 이는 근대에 오면서 생겨난 태도이다.>>>
-철학자: 뜬구름만 잡는 사람이라고 일반인들은 생각함. 플라톤도 생각하다 구덩이에 떨어 지기 일쑤였음
-그러나 철학은 올바르지 않은 인식을 수정해주며, 그러한 자원을 제공해 준 것이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釋古(석고)- 신고와 의고의 태도를 융합한 것. 무조건 사료를 믿거나 의심하는 것이 아닌,
고대의 역사(歷史)나 전설이 믿기 힘든 부분이 있더라도, 역사(歷史)적 근거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당시의 생활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태도. 고대의 사료들과 역사(歷史)
서들을 현실에 맞게 재구성, 재해석하여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적용시키는
태도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은 철학사, 사상사를 비롯한 모든 역사(歷史)가 모든 발견과 발명에 의해 끊임없이 다시 쓰여졌음을 알게 해주며, 역사(歷史)는 고정 불변한 것이 아님을 알게 해줌.
마찬가지로 지식과 사상은 끊임없이 변해왔음.
19세기 초 꽁트
시대사조 분류법에 의해 시대를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