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1 23:37
본문
Download :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hwp
,경영경제,레포트
제7차영어과교육과정
설명






순서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그 자세한 내용을 조사한 리포트입니다.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개定義(정이) 배경과 그 자세한 내용을 조사한 리포트입니다. 제7차영어과교육과정 ,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경영경제레포트 ,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V. 영어과의 교수·학습 방법
1.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 문법 체계에 대한 지식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 언어란 사회적 맥락과 유리될 수 없으며 사회적 맥락 속에서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전달하고 교섭하는 의사소통의 수단 및 도구라는 인식이 확산
· 그 결과 1960년대 후반 종래의 구조주의 언어학을 바탕으로 한 문법 중심의 영어 교수법과는 달리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의 실제적 사용에 중점을 두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등장
· 특히 1972년 Wilkins가 Notional Syllabus를 펴내면서 언어의 기능에 중점을 둔 Functional-notional syllabus가 대두: 언어의 구조적 측면보다 기능에 관심을 두게 되었으며 언어를 배우는 것은 곧 언어 사용 능력을 배우는 것
· 학습자의 욕구를 分析하여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며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目標(목표)어로 다른 학생과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도록 기대
2) 의사소통 능력
· Canale과 Swain (1980)
· 의사소통 능력은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적 능력, 전술적 능력을 포함
(1)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
영어의 어휘, 음운 및 문법 체계에 관한 지식
(2) 사회 언어학적 지식
(socio-linguistic competence):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대화자, 상호 작용의 기능 등)에 대한 지식. ex) style, register
Style: Joos(1962)
(1) Intimate style
“Where to?`
`Class.`
(2) Casual style
`(The) Coffee`s cold.`
(3) Consultative style
`Can I help you?`
(4) Forma…(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hwp( 41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