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의.식.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07:59
본문
Download : 북한의 의식주.hwp
방 법
주민들의 계층, 직종, 연령 등을 근거로 개별적인 노동의 양과 질을 계산해 差別(차별) 적으로 식량. 배급량과 질을 결정
라. 식량배급 절차
노동자와 사무원의 경우 직장 ‘경리부’를 통해 배급표를 지급받아 매달 2회(1일,16일)씩 배급소에서 그 배급표에 따라 유상으로 식량을 구입하고 있으며 농민들의 경우는 협동농장에서 매년 추수 후 11-12월 기간 중에 실시하는 결산분배 시 각 농장원들은 협동농장의 총 수확량 중 종자·비료·농약 등 영농자재비와 관개수리 대금·농기계 사용료·culture후생비·공동기금을 공제하고 그 나머지를 연간 각자가 일한 노동의 양과 질을 기준으로 한 노력점수에 따라 분배 받고 있으나 농장원들의 실제 곡물분배량은 농가당 연간 최소한의 식량만을 남기고 나머지…(투비컨티뉴드 )
북한의 의.식.주에 대해 조사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북한의의- , 북한의 의.식.주의약보건레포트 ,
북한의 의.식.주에 대해 조사하여 정리(整理) 한 資料입니다.북한의의-
설명






1. 食(식)
(1) 북한의 식생활 (배급제)
가. 배 경
1946년 3월 1일부터 행정기관의 사무원 및 노동자들에게만 적용되었지만 내각 결정 96호 및 102호(양곡 수매 및 판매사업을 국가통일체제에 의하여 진행)에 의하여 1957년 11월 1일부터 지금까지 협동 농장원을 제외한 북한 전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
나. 목 적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 말라’ 는 원칙 아래 식량을 사회통합의 한 수단으로 무기화하여 모든 주민을 노동현장으로 끌어넣어 예속시키려는 데 목적
다.
Download : 북한의 의식주.hwp( 57 )
순서
북한의 의.식.주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