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의 역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6 09:19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2).hwp
넷째, 조직의 목적은 비영리적인 것이어야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2).hwp( 42 )
사회복지실천의 역싸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실천 역사
순서
사회복지실천,역사,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실천의 역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사회복지실천의 history(역사)
존슨(Johnson)은 다양한 민간사회복지(voluntary social services)의 定義(정이)들을 검토한 후, 민간복지조직의 定義(정이)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첫째, 조직이 government 가 아닌 자발적으로 모여든 사람들의 집단에 의해서 구성된다 둘째, 조직은 자주적으로 운영되고 조직의 규약이나 정책을 스스로 결정한다. 활동의 내용, 제공되는 서비스, 채택해야 할 방법 등을 결정하는 것은 조직의 구성원이다. 그러므로 민간사회복지의 근원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들은 그 활동들이 당시의 공공복지활동과 어떤 관계 속에서 행해졌으며, 공공의 복지와 어떤 형태로 기능과 역할을 분담하고 있었는가라는 사실을 고려하면서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의 자금 중 적어도 일부는 민간의 재원을 조달되어야 한다. 정리(arrangement)하면, 이 두 활동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조직이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나…(skip)
설명
다.
따라서 여기에서 위와 같은 판단 기준에 의거하여 민간사회복지의 처음 을 자선조직협회(COS : Charity Organization Society)의 활동과 인보관운동(settlement movement)에서 찾고자 한다. 두 번째의 기준은 민간사회복지라는 concept(개념)이 현대에 있어서 공공사회복지에 대비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즉 민간사회복지는 공공사회복지의 하나의 파트너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때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주목적이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민간사회복지의 처음 은 이런 민간조직이 발생하고 조직적으로 활동이 처음 되는 시기를 그 처음 으로 보아야 할 것인데, 박광준은 어떤 시기를 민간사회복지의 처음 이고 규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요소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구제의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느냐 아니냐 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定義(정이)에 의하면 이러한 조직에 의해 조직적으로 행해지는 복지활동이 민간사회 복지활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