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지해섭 음운 체계 비교 /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0:54
본문
Download :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지해섭 음운 체계 비교.hwp
다시 이를 근거로 擧要 의 각 小韻目의 음운 체계를 재구한다. 본 연구는, 正韻 의 작자가 저본이 된 擧要 의 음운 체계를 어떻게 인식하여 正韻 에 반영하고 있는지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둔다. 2.1 - 2.2.는 止攝韻이며, 2.3. - 2.6.은 蟹攝韻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서론
參考文獻
1.2.1. 東國正韻 와 古今韻會擧要 의 체제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蟹攝 음운 체계 비교 1. 서론 2....
1.1. 연구 목적





설명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蟹攝 음운 체계 비교 1. 서론 2....
1. 서론
正韻 은 모두 6권 6책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蟹攝 음운 체계 비교
다.순서
Download :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지해섭 음운 체계 비교.hwp( 60 )
1.2. 연구의 기저
일러두기
2. 각 韻별 음운 체계 비교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지해섭 음운 체계 비교 /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
3. 結論(결론)
〈 目 次 〉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지해섭 음운 체계 비교 / 東國正韻 과 古今韻會擧要 의 止·
본고는 中國 元代의 韻書인 古今韻會擧要 (1297년 간행, 이하 擧要 로 간칭)와 朝鮮 시대 韻書인 東國正韻 (1448년 간행, 이하 正韻 으로 간칭)의 음운1) 체계(phonemic system)를 비교2)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후 擧要 에서 正韻 의 작자가 인식하고 있는 China의 음운 체계로 전환하는 규칙을 수립할 것이다.3) 이를 위하여 먼저 16攝의 음운으로 대표되는 후기 중고음(이하 LMC로 간칭)의 음운 체계를 수립한다. 正韻 은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韻書이다.4) 본고에서는 韻尾가 j 인 止·蟹攝을 연구 범위로 한다. 이외에도 正韻 이 반영하고 있는 음운 체계가 China의 어느 시기의 음인지 논증 가능한 부분은 밝히도록 하겠다. 正韻 의 저술 목적은 한국음과 China음의 차이를 극복하고, 우리의 자음 체계와 전통적인 China 韻書의 체계에 맞추어, 혼란스러운 한자음을 정리(arrangement)하고 통일하려는 데에 있다 正韻 은 中國의 전통 韻書의 effect을 절대적으로 받아 편찬되었으며 음운 방면에서는 廣韻 등의 여러 切韻 系韻書 및 等韻圖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에 擧要 의 전통의 107韻가 체계가 저본이 되었음은 학계에 공인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