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iptv.co.kr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 abciptv1 | abciptv.co.kr report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 abciptv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abciptv1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1:58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hwp






2.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된 경우
사업 전부/대부분의 계속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예외가 인정되며, 이때 부분적으로 사업부서가 폐지된 경우나 일시적으로 중지되었으나 가까운 장래에 사업계속…(drop)

근로기준법%2023조%202항의%20해고시기의%20제한에%20대한%20검토_hwp_01.gif 근로기준법%2023조%202항의%20해고시기의%20제한에%20대한%20검토_hwp_02.gif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근로기준법,조,항,해고시기,제한,검토,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hwp( 61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 조 항 해고시기 제한 검토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다.

Ⅲ. 해고금지기간의 예외

1. 일시 보상한 경우
이 경우 해고 할 수 있다 세부적인 내용은
① 업무상 부상 질병으로 요양 보상을 받고 있는 자가 2년 경과 후에도 완치되지 않는 경우 mean or average(평균) 임금의 1340분의 일시보상 한 경우를 의미하며,
② 산재법상 요양개시 후 3년 경과 시점에, 상병보상연금 받고 있는 경우 일시보상을 한 것으로 본다.

Ⅱ. 해고금지기간

1. 업무상재해의 요양을 위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1) 의의
이러한 규definition 의의는 노동력 상실 및 그 회복기간 동안 근로자가 실직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재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2) 일부휴업이 포함되는지 여부
이는 출퇴근하면서 통원 치료받는 경우도 해고가 금지되는 기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문제인 바 동 규definition 취지 감안시, ...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법적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1. 해고의 definition
해고의 법적 definition 은 사용자의 일방적/확정적 의사표시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해고시기제한의 necessity need
해고의 정당한 사유가 있어도 어느 특정시기에 심신이 허약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은 물질적, 정신적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근기법 23조에서 근로자 안정적 생활관계 보장하려는 취지에서 해고시기제한 규정(4인이하 사업장에 적용)을 두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 해고금지기간

1. 업무상재해의 요양을 위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1) 의의
이러한 규definition 의의는 노동력 상실 및 그 회복기간 동안 근로자가 실직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재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2) 일부휴업이 포함되는지 여부
이는 출퇴근하면서 통원 치료받는 경우도 해고가 금지되는 기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문제인 바 동 규definition 취지 감안시, 요양 위해 휴업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순서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법적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1. 해고의 definition
해고의 법적 definition 은 사용자의 일방적/확정적 의사표시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산전후, 유사산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간
임산부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 및 모성보호 측면에서 해고금지기간으로 포함된다

3. 육아휴직기간
이 기간 역시 해고 기타 불이익 처우금지의 기간이 되는데 이는 모성보호 강화 측면의 취지이다.
2. 해고시기제한의 necessity need
해고의 정당한 사유가 있어도 어느 특정시기에 심신이 허약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은 물질적, 정신적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근기법 23조에서 근로자 안정적 생활관계 보장하려는 취지에서 해고시기제한 규정(4인이하 사업장에 적용)을 두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전체 40,86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abciptv.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