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0:27본문
Download :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hwp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
순서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
1. 한돈의 속성 및 現況(현황)
1) 국내 한돈의 속성
- 초기 고정비 투자비가 많고, 유지관리비가 많이 발생함 (분뇨, 배설물 처리 등)
- 계절, 기후 등의 影響에 따른 시세의 변동이 심함
- 구제역의 타격 우려
- 돼지고기는 육류 중에서 가공 이용 면이 가장 광범위하며, 조리에 쓰이는 부위도 제한 되어있지 않아 업체多 (햄, 소세지, 베이컨, 구운 돼지고기 등)
- 소고기에 비해 약 3배 정도 빠르게 변질됨
(1.5~0℃에서 소고기는 4~5주 정도지만 돼지고기는 1~2주 저장할 수 있다)
2) 국내 한돈의 現況(현황)
2009년 data(資料)에 의하면 농림업 총 생산액에 대한 축산업의 비율은 약 40%에 육박하며,
상위 5개 품목별 생산액 중 ‘돼지’는 9.5%를 점하며, 3위를 차지했다. 대규모 농가의 경우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비율이 높은…(생략(省略))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 ,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경영경제레포트 , 돼지고기 한돈 유통구조
레포트/경영경제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1.gif)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2.gif)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3.gif)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4.gif)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5.gif)
%20%EC%9D%98%20%EC%9C%A0%ED%86%B5%EA%B5%AC%EC%A1%B0_hwp_06.gif)
설명
Download : 돼지고기 (한돈) 의 유통구조.hwp( 19 )
돼지고기,한돈,유통구조,경영경제,레포트
다.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비율은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난다.
2. 한돈의 유통경로 (유통시스템) 및 체계
□ 돼지고기 유통경로별 유통량
(생산) 경매 10.3%, 임도축 89.7
- (경매) 계통출하 5.3%, 개별출하 5.0, (임도축) 식육포장처리업체 61.3, 조합 18.1, 정육점 10.3
(도축) 도매시장공판장 26.5%(경매 10.3, 임도축 16.2), 도축장 73.5%(LPC 20.6, 일반 52.9)
(도매) 중도매인 10.3%, 식육포장처리업체 64.1%(2.8% 중도매인으로부터 구입물량 포함)
- 중도매인 판매 : 정육점 3.6, 식육포장처리업체 2.8%, 조합 2.0, 대형마트, 일반음식점 등
(소매) 정육점 32.3%, 조합 24.2, 대형마트 14.7, 2차가공기타 13.5 순
3. 한돈의 각 유통단계별 現況(현황) 과 drawback(걸점)
가. 농가단계에서의 유통現況(현황) 과 drawback(걸점)
양돈농가가 기른 돼지를 55%는 정육점을 포함한 수집상에 판매하고, 계통출하와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농가는 35%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