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한문] 논어 공야장 의 특징 구절 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3:13
본문
Download : 공야장 준규.hwp
자공 : 제가 어찌 감히 안회를 바라겠습니까? 안회는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알고 저는 한 가지를 들으면 두 가지를 알 뿐입니다. 나와 너는 그보다 못하다.
순서
[이용대상]
공야장 , 공자 , 공야장 , 포승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공자 : 너와 안회 중에서 누가 뛰어난가?
설명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子曰, “吾未見剛者.”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논어 공야장 편의 3구절에 대한 감상. 공야장 편에 대한 것을 알고 싶은분. [이용대상]
다.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인문,한문] 논어 공야장 의 특징 구절 감상.
논어 공야장 편의 3구절에 대한 감상. 공야장 편에 대한 것을 알고 싶은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子曰, “吾未見剛者.”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공자가 제자인 자공과 대화하는 내용이다. 자공은 공자의 뛰어난 제자로, 공자 사후에 스승을 위해 6년 동안 여막 생활을 하였으며 이후 공자 교단의 든든한 경제적 후견인 역할도 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공야장 편에 나타난 제자들의 모습은 현대 사회에 나타난 우리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Download : 공야장 준규.hwp( 20 )
논어의 공야장 편은 학이, 위정, 팔일 편 등과는 달리 인간을 평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있다 예를 들면 1장에서 공야장을 두고 평하기를 ‘비록 포승으로 묶여 있었으나 그의 죄가 아니기에 사위 삼을 만하다’라고 평한 것을 스타트으로 남용, 자공, 안회 등 제자들의 언행과 행동을 통해 제자를 평해놓았다.
본문내용
공자 : 그보다 못하다. 자신의 위치에 대한 평가, 제자의 나태함에 대한 공자의 평가 등, 우리 사회에서도 쉽게 보이는 인물의 모습이 숱하게 드러나 있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을 공야장 편에 나타난 공자의 제자들의 언행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