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을 위한 복지現況(현황) 및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2:50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현황 및 대책.hwp
유아기 발달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낮은 교육 수혜율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을 인정하여 2007년 ``장애…(skip)
설명
순서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現況(현황) 및 대책
장애아동,위한,복지,대책,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현황 및 대책.hwp( 42 )
레포트/인문사회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현황 및 대책 ,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현황 및 대책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아동 위한 복지 대책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現況(현황) 및 대책
다.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상황 및 대책
목차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상황 및 대책
I. 장애유아의 무상교육
II. 장애유아의 의무교육
III. 장애아동 교육재활서비스
IV. 개별화 교육(IEP)
V. 장애아동 가족program의 개발
1. 부모
2. 형제
VI. 개별화 가족지원게획(IFSP)
VII. 장애아동 의료재활서비스 improvement(개선)
참고한 문헌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상황 및 대책
I. 장애유아의 무상교육
3세 이상의 장애유아에게 무상의 공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법적 근거는 1994년 개정된 `특수교육진흥법`부터 스타트되었다.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되어 장애유아에게 무상의 공교육을 시행하기 스타트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도 장애유아의 교육 수혜율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볼 때 매우 낮았다. 또, 제8조에는 `국가 및 지방자치 단계는 장애를 지닌 유아에 대한 유치원 과정이 교육을 촉진하기 위해 장애의 조기발견, 교원양성, 교육시설 설비의 확충 등 조기특수교육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유아특수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에 유아 특수교육과를 신설하고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선정하기 위한 진단평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법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통계에 의하면 무상의 공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수는 3, 243명이며, 이중 과반수는 일반유치원에 완전 통합되어 있는 장애유아로 국가는 유치원의 원비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었다.`고 규정함으로써 3세 이상의 장애 유아에 대한 무상의 공교육이 스타트되었다.
II. 장애유아의 의무교육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이 전면 개정됨에 따라 만 3세 이상의 장애유아에게 무상의 공교육을 제공하게 되었다. 동법 제5조에는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정이 교육은 이를 의무교육으로 하고, 유치원 및 고등학교 과정이 교육은 이를 무상으로 한다.